흥, 손철주의 음악이 있는 옛 그림 강의
손철주 지음 / 김영사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 그림은 그 시대의 삶과 풍속 등을 알려준다. <-손철주의 음악이 있는 옛 그림 강의>는 그림을 통해 음악이라는 것이 어떻게 녹여져 있는지를 알려준다. 옛 그림이나 음악 모두 그 당시 사회의 문화, 가치 등을 보여주기 이 책은 그림과 음악이 흐르는 인문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책은 크게 은일, 아집, 풍류라는 주제를 다룬다. 은일은 숨어 살기와 혼자 이루기, 아집은 더불어 즐김을 나누기, 풍류는 서로 기쁜 우리들이라는 부제를 달고 그림과 그림 속 음악의 의미를 보여준다.

한선국의 <허유와 소부>라는 그림을 통해서는 은거의 참된 의미를 말한다. 맹자의 말을 인용해 명성이 실제를 넘어서면 군자는 그것을 부끄러워한다.”라고 말하며 은거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를 보여준다. 이행유의 <탁족>, 지운영의 <탁족>이라는 그림을 통해서는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를 말한다.

 

세상의 옳고 그름과 이기고 짐이라는 것이 얼마나 쓸데없는 일인가, 말하자면 뜬 이릉에 불과한 것이니, 세상이 맑으면 맑은 대로 처신하고, 흐리면 흐린 대로 처신하면 그만 아닌가.”

 

아집에서는 이인문의 <설중방우>라는 그림을 통해서 소통의 중요성을 말한다. 그러면서 친구 사이에서도 소통은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이처럼 이 책은 그림과 음악에 대한 이야기도 하지만 그림을 통해 우리가 지녀야할 가치가 무엇인지, 지금 우리가 되돌아 봐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를 이야기한다.

 

친구와 친구 사이의 미더움이 어디서 생기는가? 바로 소통에서 생긴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CEO를 대상으로 강의한 내용을 엮어서 그런지 쉽게 읽힌다. 그리고 그림을 통해 저자의 가치관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그림을 통해 인문학적 통찰을 알고 싶다면 편하게 이 책을 읽어보라고 하고 싶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그림을 보는 안목도 조금은 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안목은 그렇게 풍부하게 실물을 본 상인의 경험에 더하여 학자의 끝없는 탐구심과 인근 분야와의 대조가 뒷받침되어야 발전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