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 Model - 미래의 기회를 현재의 풍요로 바꾸는 혁신의 사고법
가와카미 마사나오 지음, 김윤경 옮김 / 다산3.0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타트업 부상과 함께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비즈니스 모델이다. 동일한 사업을 하더라도 수익모델과 운영모델을 어떻게 가지고 가느냐에 따라 해당 기업의 성패 혹은 지속성은 달라질 수 있다. 세차 비즈니스를 하더라도 어떤 업체는 자전거를 타고 현장에서, 어떤 업체는 사람을 보내 고객차를 가지고 와서 세차장에서 세차를 해준다. 이러한 모델에 따라 가격, 서비스 방법, 필요 자원 등이 달라진다.

 

<모델>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야기다. 이 책은 비즈니스 모델을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소설처럼 꾸몄다. 그래서 스포츠화를 판매하는 레오리아스라는 업체가 어떻게 사업을 혁신해서 성공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책은 가벼운 듯 하지만, 깊이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어 과거 소설처럼 나온 비즈니스 서적 대비 많은 것들을 알려준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오랫동안 연구해온 저자가 생각하는 하이브리드 프레임이라는 비즈니스 모델 사고법이나 고객의 활동 체인이라는 비즈니스 모델 프레임워크도 제시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프레임은 이익과 고객가치를 축으로 Who, What, How 관점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생각해보는 것이다. 고객의 활동체인은 고객 활동을 구입 단계, 용건 해결 단계, 지속 단계로 구분하여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이 현재 어떤 단계를 커버하고 있고 과금은 어느 단계에서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주는 표이다.

고객가치는 단지 이익의 제안만이 아니라, 그것을 얼마에 실현할 수 있느냐가 함께 설정되어야 비로소 확실해진다. 그러므로 고객이 가치를 직접 느낄 수 있게 하는 제안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저자의 툴이나 프레임은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은 고객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는 전제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저자는 코스트코, 라인, 드롭박스, 네스카페, 구글 등의 비즈니스 모델 사례를 제시하며 이러한 업체들의 어떻게 사업을 운영하고 수익은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알려준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그 제품을 갖고 싶어서가 아니다. 그 제품을 갖고 싶어서 사는 걸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해결하기 위해서그 제품을 구매할 뿐이다.”

국내에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방법론이 소개되어 있다. 어떤 비즈니스 모델 방법론을 활용하여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선하든 혁신하든 중요하지는 않다.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이 과연 고객의 일을 해결해 주고 있는지가 가장 중요할 것 같다. 수 많은 비즈니스 모델 속에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차별화되는지, 그리고 이 차별화가 자사의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되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