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힘 빼고 행복 - 더 잘하고 싶어서, 인정받고 싶어서 매일 자신을 채찍질해온 당신에게
고코로야 진노스케 지음, 강다영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너무 힘든 세상에서 살고 있다.
너무나도
치열한 경쟁,
그리고
노력을 해도 무언가를 성취해내기 어려운 구조 등으로 인해 스스로 좌절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듯하다.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말은 더 이상 우리를 설득할 수 없는 현실까지 왔다.
일본에서
도쿄대 출신 여성이 과도한 업무와 야근으로 인해 자살한 사건은 남일 같아 보이지 않는다.
‘노력중독’,
‘너무
노력하지 말아요’라는
책 제목들은 이미 우리의 현실을 잘 알려준다.
이
뿐인가?
‘마음’,
‘치유’,
‘위로’
등의
키워드로 기사와 책들은 넘쳐난다.
이제는
우리가 위안을 받아야 하는 시점에 온 듯 하다.
<힘
빼고 행복>이라는
책도 우리를 달래주고 스스로 위안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알려주는 책이다.
책의
전체적인 내용 또한 더 이상 목표,
평가
등으로 인해 너무 노력하지 말라고 이야기한다.
현재의
자신을 인정하고 그 인정을 통해 또 다른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말이다.
“지금의
내 모습 그대로,
큰
걱정 없이,
설렁설렁
즐기며 걷다 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깜짝 놀랄 정도로 편안하고,
행복한
세상에 도착합니다.”
“나는
지금 이대로 충분하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변화가
시작됩니다.”
우리는
평가의 기준을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맞추며 살아왔다.
심지어
자신의 목표조차 타인의 기준을 고려해 만든다.
그러다
보니 우리는 어쩌면 과도한,
달성할
수 없는 목표를 가지고 스스로 채찍질해왔는지 모른다.
“실제로는
‘쓸모없는
나’가
아니라 ‘자신을
쓸모없다고 여기는 나’가
존재할 뿐입니다.”
“그동안
노력해서 쌓아왔던 것들을 지키기 위해 무리하다 보면 자신이 갇힌 작은 틀 안에서 결코 빠져나올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진짜 문제가 아닙니다.
문제라고
인식하는 사람에게 진짜 문제가 있는 겁니다.”
저자는
이러한 현실을 벗어나 자신만의 행복을 찾기 위해서 3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하기
싫은 일은 거절하세요,
남들에게
일을 맡기고 놀러 나가세요,
“나는
대단한 사람이야”라고
선언해보세요다.
책
제목처럼 우리는 너무 긴장해 힘이 팍 들어간 자신에게서 힘을 빼고 때론 나태해질 필요도 있을 것 같다.
빈틈없는
사람은 너무 냉정하다고 하면서 그런 사람을 내심 부러워하는 우리의 심리를 이제는 벗을 때도 되었다.
형광빛
주황색의 책과 예쁜 고양이 그림은 이제는 조금 쉬면서 스스로를 허술하게 만들어도 괜찮다는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