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이렇게 어려웠던가 - 관계 맺기 심리학
옌스 코르센.크리스티아네 트라미츠 지음, 이지혜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잘 모르는 사람들을 만나고 그리고 몇 번의 만남을 통해 친분이 있는 관계롤 발전하고, 때로는 서로 연락이 없어 은연중 관계가 소멸되기도 한다. 이런 사람들과의 관계 맺기 과정들은 어떤 이들에게는 일상처럼 편하게 다가오지만 어떤 이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사실 요즘은 혼밥, 혼술처럼 사람들과 관계를 맺지 않는 경향이 가속화되고 있다. 혼자 집에서 책을보거나 영화를 보면서 여가생활을 즐기고, 중간 중간 필요하면 혼자서 가까운 곳으로 여행을 떠나 혼밥과 혼술을 즐긴다.

 

어쩌면 이런 사회 분위기 속에 출간된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이렇게 어려웠던가>관계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책인 것 같다. 저자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이런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라고 생각하고 그 메커니즘을 은밀한 동반자라고 부른다. 은밀한 동반자는 평가자, 경고자, 신호전달자, 연결자, 공감자, 권력자, 보호자, 자극자, 의지관철자, 통제자 등으로 분류하며 관계와 관련된 메커니즘을 세부적으로 분류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는 관계의 기본적 이해를 토대로 다가서기, 어울리기, 갈등, 이별하기 등으로 인간의 관계를 순서대로 제시하며 우리가 관계를 맺을 때 알고 있어야 할 것들을 제시하고 있다. 책 중간 중간 <자아계발자를 위한 훈련법>이라는 코너를 만들어 우리가 사람간의 관계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그리고 관계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무엇을 생각해봐야하는지를 알려준다.

 

소심한 성격이라도 관계에 대해 어려워하지 말고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해 호의적으로 생각하라고 말합니다.

 

당신이 소심한 성격이라면 그냥 그렇다고 인정하세요. 그러면 그만입니다...‘내성적이나 소심한같은 단어들도 더 이상 사용하지 마세요.”

 

관계를 맺는 것도 일상의 하나이기 때문에 크게 부담스럽게 생각하지 말라고 한다. 우리는 수 많은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데, 그러한 문제들을 자신을 조금 더 단단하게 해주는 하나의 훈련이라고 생각하라고 말한다.

 

장애물과 불운을 부담스럽게 여기기보다는 자신을 더욱 강하게 만들어줄 훈련의 일환으로 간주하세요.”

 

이런 식으로 이 책은 관계 패닉에 빠져있는 우리들에게 관계라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 일상적인 것이라고 말해준다. 이별 또한 솔직하고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이별을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유쾌한 기분으로 인정하라고 말한다. SNS을 통해 수 많은 관계가 형성되지만, 오프라인을 통한 관계 맺기에는 어려워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자신의 마음을 다지면서 관계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는 좋은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