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 - 초상화에 감춰진 옛 이야기
배한철 지음 / 생각정거장 / 201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얼굴은
그 사람에 대해 많은 것을 이야기해준다.
그리고
우리들 대부분은 얼굴을 통해 그 사람의 첫인상을 판단하고 그 사람에 대해 ‘이럴
것 같다.
저럴
것 같다’는
등의 판단을 한다.
<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는
바로 역사적 인물들의 얼굴에 관한 책이다.
그렇다고
관상에 대한 책은 아니다.
그래서
역사적 인물들의 초상화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초상화
그 자체 보다는 인물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말한다.
사도세자를
죽인 자들과 사도세자의 아들 편에서는 영조에 대해 이야기하면 임금의 얼굴,
어진을
말한다.
또
정조의 신임을 받은 채제공에 대해서는 ‘조선
최고의 재상은 사팔뜨기’라고
말한다.
채제공의
초상화에서 양눈이 서로 다른 쪽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근 우리가 많이 봤던 영화나 사극의 주인공 충무공 이순신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충무공의 영정은 없다고 한다.
백
원짜리 동전의 충무공 영정이나 장우성 화백의 영정은 상상화라고 한다.
안타까운
사실이다.
단지
과거 자료에 따르면 공통적으로 얼굴에 살집이 많지 않았다라는 추측만 남겨졌을 뿐이다.
이
외에도 얼굴 없는 위인들,
화폭에
담긴 여인들,
조선의
아웃사이더,
거장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역사적 인물들을 분류하며 이야기를 한다.
책을
읽다보면 그냥 우리의 역사를 가볍게 훑어 본 느낌이 든다.
아쉬운
점은 역사적 인물들의 얼굴,
그리고
성격,
당시
그 인물의 업적과 연관시켜 내용이 전개되었으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더 흥미로운 책이 되지 않았을까?
각
인물들에 대한 내용이 짧게 끝나서 아쉬운 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