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니체의 인간학 - 약함, 비열함, 선량함과 싸우는 까칠한 철학자
나카지마 요시미치 지음, 이지수 옮김, 이진우 감수 / 다산북스 / 2016년 9월
평점 :
우리는
어떻게 보면 스스로를 억압하며 살고 있는지 모른다.
착한사람
콤플렉스로 인해 스스로를 너무 낮추고 타인을 배려한다며 자신의 정체성이나 자신감 등은 점점 사라지고 있었는지 모른다.
<니체의
인간학>은
이제 그런 나약함에서 벗어나 삶의 현실을 견디고 당당하게 나아가라고 말한다.
착한
사람에서 벗어나 좀 더 강해지라고.
책
목차만 봐도 이 책이 말하는 바는 명확하다.
착한사람은
약자다.
착한사람은
안전을 추구한다.
착한사람은
거짓말을 한다.
착한사람은
무리를 짓는다.
착한사람은
동정한다.
착한사람은
원한을 품는다.
우리는
‘착함’이란
것을 방패삼아 우리 활동의 너무 많은 것들을 스스로 위축시키고 변명하고 거짓말하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저자의 이러한 생각들은 저자가 일본에서 ‘싸우는
철학자’로
불리는 이유일수도 있다.
하지만
저자는 단순히 착함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착함이라는 가면을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약자는
‘나는
약하니까 어쩔 수 없어’라는
원리에 처음에는 조심스럽게.
나중에는
점차 공공연하게 매달린다.”
“착한사람이
바라는 것은 작은 행복이므로,
그것을
계속 추구하다 보면 그들은 점점 더 작아진다.
그들의
미덕은 전부 ‘소극성=부정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작아지는 것도 당연하다.”
저자의
이런 이야기들은 일본의 젊은이들이 점점 나약해지는 현실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런
현실이 일본뿐이겠는가?
그리고
꼭 젊은이뿐이겠는가?
누군가를
비난할 때,
우리는
누군가가 착하지 않다라고 그 사람을 비난한다.
하지만
정작 비난받아야 할 것은 착함을 이용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저자도
분명 그러한 점을 말하고 싶을게다.
“착한사람은
자신의 본심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자신의
본심에 귀를 기울이면,
거기에는
타인을 상처 입히고 자신도 상처받는 불온한 언어가 꿈틀거리고 있으며,
이로써
자신의 평온무사함이 위협받기 때문이다.”
저자는
니체의 다양한 책을 인용하면서 착한사람에서 벗어나 강해져야 한다고 말한다.
자신이
착한사람이 되기 전에,
자신은
정말 자신을 존중하고 세상의 현실에 맞서 강한지를 한 번 살펴보면서 이 책을 잃으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