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채총각 이야기 - 스물여덟 창농CEO 김선영의 크리에이티브 팜 비즈니스 스토리
김선영 지음 / 라온북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년창업이 한창이다. 정부에서는 사업 아이디어에 대해 창업자금 지원부터 멘토링, 사업계획서 작성, 유통/마케팅 등을 지원해준다. 그런데 대부분 이런 사업 아이디어는 IT에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삼채총각이야기>의 김선영은 농업 분야에서 창업을 해 성공을 한 경우다.

 

28살의 젊은 나이에 삼채라는 사람들이 잘 뛰어들지 않는 아이템으로 농업의 블로우션을 개척했다. 나이도 나이지만 아이템 자체도 놀랄만 하다. 현재는 35천만원 정도의 매출을 올린다고 한다.

 




저자는 책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항상 다양한 도전에 적극적으로 맞서왔다. 호주 유학부터 삼채라는 아이템을 가지고 사업을 시작하기 까지 저자의 삶은 그리 좋은 환경은 아니었다. 하지만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도 하다 보면 무언가를 얻을 수 있다는 신념과 용기를 가지고 지금의 성과를 이루었다. 호주에서 일자리를 구하러 다니던 모습은 정말 글로만 읽었지만 매우 힘들었을 거라 생각된다.

 

또 충북 진천으로 귀농해서 3,000평 남짓한 노지에서 무언가를 시작하려는 자체가 어려워보이던 환경 속에서도 농업 관련 교육부터 시작해 밤낮으로 땅을 일구며 삼채를 키우는 모습은 정말 젊은 나이에 대단하다는 말밖에 나오지 않는다.

 

삼채총각’, ‘청년농업인’. 저자에 대한 수식어는 다양하지만 이 두 키워드만 들어도 청년창업에 있어 신선해 보인다. 그리고 삼채를 키워서 그 어려운 유통을 뚫기까지의 모습도 지난했지만 결국 대기업에 납품하는데 성공하는데,  또한 저자의 경험과 용기 등이 빛을 발한 것 같았다.

 

내가 기른 삼채를 판다는 생각에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가 농업공동체가 내세울 수 있는 가치를 생각하게 한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나의 궁극적인 꿈, 대규모 농가형 체험단지를 만들겠다는 꿈에도 한 걸음 다가간 시간이기도 했다.”

 

저자의 마인드와 열정은 청년창업을 하는 사람들은 꼭 배워볼 필요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업의 아이템 선정부터 그 아이템을 사업화하는데 있어 예상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는 방법 또한 마찬가지다. 저자의 생생한 창업 스토리를 듣고 싶은 이라면 이 책을 권한다.

 

나는 스스로를 삼채총각이라고 규정했다. 대한민국에 삼채라는 채소를 더 널리 알리는 남자. 건강한 먹거리를 기르고 그것을 더 많은 사람에게 전달하는 사람. 나는 요즘도 매일 고민한다. 삼채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어떻게 유통할 수 있을지. 그리고 농업과 관관을 어떻게 하면 조화롭게 연결할 수 있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