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등의 통찰 - 전 세계 1% 전략가들에게만 허락된 MIT 명강의
히라이 다카시 지음, 이선희 옮김 / 다산3.0 / 2016년 6월
평점 :
우리는 생각을 통해서 성장한다. 생각의 시간이 축적될수록 사람은 통찰력을 가질 확률은 높아진다. 하지만 사람은 편견에 사로잡히거나 생각 자체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면 우리가 원하는 통찰은 사실 하나의 의견에 불과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1등의 통찰>은 우리가 어떻게 생각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말해준다. 특히, MIT의 시스템 다이나믹스 이론을 바탕으로 생각하는 법을 알려준다. 저자 또한 MIT 슬론스쿨에서 MBA와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는 컨설팅 회사의 임원으로 재직 중인 분이다. 그러다 보니 이 책은 시스템 다이나믹스를 통해 어떻게 통찰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해 말해준다.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잘못된 생각습관을 가지고 있는데, 저자는 9개의 습관을 이야기한다. 현상의 반대를 결론으로 삼는 습관, 일반론에 만족하는 습관, 프레임워크에 의존하는 습관, 카테고리에 빠지는 습관, 키워드에서 생각을 멈추는 습관, 초기 가설을 고집하는 습관 등이다.
저자의 생각습관은 모델과 다이너미즘을 기본으로 하는데, 이는 시스템 다이나믹스의 기본 구조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통찰력을 높일 수 있을까? 먼저 생각을 그려보라고 한다. 모델을 그려 현상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고 요인간의 인과관계(인과 루프 다이어그램)를 파악하라고 말한다. 이는 요인간의 플러스 루프와 마이너스 루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전체를 전체로 포착해 각 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주목해야 올바른 대답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이 그려지면, 과거를 해석하고 미래를 예측하라고 말한다. 이를 위해 함수를 활용하거나 근원적 드라이버를 파악한다. 그리고 인과관계를 검증한 후 이를 스토리로 만들 수 있는 확인한다.
세 번째는 모델을 바꿔 해결책을 찾고 마지막으로 피드백을 얻으라고 말한다. 자신의 생각하고 있던 모델을 바꿔보기 위해 다른 레버리지 포인트를 찾거나 외부관점에서 다시 모델을 검토하는 것이다.
“누구나 당장 눈앞의 문제에 매달리게 되어 있다. 이 문제를 풀어야 다음 문제를 풀 수 있을 것 같다는 직선적인 사고방식에 길들여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찰력이 있는 사람들은 뭔가 잘 안 풀리고 있다고 느끼면, 바로 생각에 브레이크를 걸고 줌아웃을 해서 넓은 시야를 확보한다.”
이 책은 시스템 다이나믹스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어떻게 통찰력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를 이야기한다. 책 자체가 가볍게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사실 다루고 있는 내용은 그렇게 쉽게 볼 수 있는 내용은 아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어떻게 통찰력을 기르기 위해 어떤 연습이 필요한지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