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그들이 이기는가 - 성공하는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클로테르 라파이유.안드레스 로머 지음, 이경희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문화는 중요하다. 조직이든 국가든 그 중요성은 변함이 없다. <왜 그들이 이기는가>는 문화에 대한 책이다. 저자 크로테르 라파이유는 <컬처코드>라는 책으로도 유명하다. 과거 <컬처코드>를 읽었을 때 경영에도 문화코드라는 것이 적용될 수도 있구나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이 책은 국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한지를 문화적 관점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한 국가의 문화적 특징이 이동성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확신한다...문화는 서로 다른 집단 간에 행동, 전통의식, 관습, 태도, 신념의 차이를 보이며 같은 정보를 그들만의 체계적인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관습, 태도, 신념 등이 이동성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방해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저자는 이러한 이동성을 이야기함에 있어 인간의 본성을 이야기한다. 이동성에 있어 생물학적 논리를 강조한다. 생존, , 안정, 성공이다. 그리고 이 4가지 요소에 대해 하향이동과 상향이동 관점에서 보면 어떤지를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하향이동 관점에서 쾌락은 죄악이다, 상향이동 관점에서는 쾌락은 쾌락일 뿐이다. 성을 금기시한다, 성을 금기시하지 않는다 등으로설명한다.

 

책 분량의 반 이상을 이 4가지 요소에 대해 설명하면서 최종적으로 어떻게 국가가 상향이동을 할 수 있을지를 설명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R2 이동성 지수를 제시한다. 이동성 지수는 문화코드와 생물논리의 합을 2로 나눈 것이다. 이 지수는 각 국가가 상향이도의 조건을 얼마나 충족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한다.

 

이 책은 결국 R2 이동성 지수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책의 많은 부분을 할애했다. 그런 측면에서 교양서적이라기 보다는 한 편의 논문같다는 생각이 든다. 어찌되었든 책에서 말하고자 한 R2 이동성 지수가 높은 국가는 어디일까?

 

1위는 스위스다. 그리고 캐나다, 미국, 싱가포르, 독일, 노르웨이, 호주, 핀란드 순이다. 한국은 17위다.

 

저자는 지수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중요한 것은 현재 어디에 있느냐가 아니라 어디로 향하고 있느냐다. 아주 좋은 문화라고 해도 구성원이 하향 이동을 하거나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는 의미다.”

 

책 제목이 <왜 그들이 이기는가>는 결국 어떤 문화를 가져야 국가가 더 좋아질 수 있느냐를 말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인간의 본능이 중요시된다. 앞서 말한 것처럼 생존, , 안전, . 학술적 관점에서 문화를 접하고 싶다면 이 책은 볼 만한다. 하지만 일반 교양서적을 원한다면, 조금은 딱딱할 수도 있겠다. 내용 자체는 딱딱하지 않지만.

 

왜 그들이 이기는가

작가
클로테르 라파이유, 안드레스 로머
출판
와이즈베리
발매
2016.04.20.
평점

리뷰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