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광석과 철학하기 -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12가지 행복 철학
김광식 지음 / 김영사 / 2016년 1월
평점 :
2016년은
故김광석의
20주기다.
‘서른
즈음에’,
‘이등병의
편지’
등이
김광석이 부른 노래다.
특히,
〈서른
즈음에〉는
2007년
음악 평론가들에게서 최고의 노랫말로 선정되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20주기를
맞아 나온 이 책은 김광석의 노래를 소재로 철학을 이야기한다.
12개의
트랙으로 나뉘어진 이 책 <김광석과 철학하기>는 김광석의 노래를 12명의
철학자 입장에서 해석하고 우리가 어떻게 행복하게 살 수 있을지를 보여준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에피쿠로스,
데카르트,
흄,
칸트,
헤겔,
마르크스,
니체,
하이데거,
롤스
등이다.
나는
여기서 몇 몇 철학자만을 살펴보고 싶다.
<거리에서>라는
노래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의 철학을 이야기한다.
중용은
알다시피 극단을 피하는 것이다.
우리는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것이
세상을 명확하게 가를 수 있어 보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는 우리가 무언가를 소유하면 행복하고 소유하지 않으면 행복하지 않다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
무엇을 ‘얻으면’
행복해지고,
‘잃으면’
불행해진다는
이분법적인 반꿈결의 철학이 우리를 불행하게 만든다.
그러한
절대반지는 세상에 없다.”
“자신은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수단으로서 돈을 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돈 그 자체를 절대 불변의 영원한 궁극 목적으로 삼고
있었음을.”
플라톤의
이상의 철학에서는 <바람이
불어오는 곳>이라는
노래를 제시한다.
우리는
이상을 추구해야 하며 그러한 이상 추구는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원동력이라고 말한다.
물론
이상향이라는 것은 달성될 수 없는 현실이지만,
그런
이상향은 우리에게 새로운 희망을 준다.
“만족스럽지
않은 현실에 맞서 싸우다보면 현실의 벽을 넘지 못해 꿈을 실현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아예 싸우지 않는다면 이미 졌으므로 꿈은 아예 실현되지 않았다.
꿈꾸지
않으면 ‘변화’는
없다.”
물론,
이
책은 이상만 이야기 하지 않는다.
에피쿠로스의
쾌락의 철학을 이야기하면서 현실을 즐길수도 있어야 된다고 말한다.
즐겁고
행복한 삶이 좋은 삶이다라고 이야기한다.
좋은
삶이 행복한 삶이 아닌 즐겁고 행복한 삶이 좋은 삶이라는 것이다.
“에피쿠로스는
외친다.
‘카르페디엠’,
‘현재를
즐겨라.’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키팅 선생도 외친다.(...)
미래에
대한 불안 때문에 현재의 삶을 저당 잡힌 이들에게 결과가 아닌 과정에 충실한 삶을 살라고 외친다.”
<사랑했지만>이라는
노래에서는 흄의 의심의 철학을 이야기한다.
의심의
철학에서는 직접 본 것만을 믿으라고 이야기한다.
잘못된
상상은 잘못된 결과를 만들기 때문이다.
“위험한
상상은 마치 독약과 같아서 몸에 퍼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어 유황불처럼 타는 위험한 것이다.
직접
본 것,
경험한
것만을 믿어야 함에도 흔적을 남기지 않는 상상에서 사로잡히면 사랑했지만 떠나보낼 수 밖에 없다는 확신에서 비롯된 돌이킬 수 없는 비극이
시작된다.”
이
책은 이외에도 김광석의 다른 노래와 철학을 연계시키면서 어떻게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나쁜
환경이든 좋은 환경이든 그것들에 집착하여 불행하든 행복하든 그것들 탓만 하는 맹목적 습관을 떠나보내야 한다.
외부
환경에 대한 집착은 불행을 낳는다.”
<이등병의
편지와 칸트의 자기비판의 철학에서>
“부족한
게 없거나 잃을 게 많지 않은 자는 삶이든 세상이든 바꾸려 들지 않는다.
아니
바뀌는 것을 원친 않는다.
결국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판다!
타는
목마름으로.”
<타는
목마름으로와 마르크스의 혁명의 철학에서>
“자라면서
마땅히 해야 한다라는 명령에 부딪힌다.
젊었을
대는 사자처럼 그러한 명령에 저항하여 나는 하고자 한다라는 의지와 열정으로 맞서지만,
나이가
들면서 마땅히,
당연히라는
명령에 순종하는 낙타 같은 삶을 살게 된다.”
<슬픈
노래와 니체의 초인의 철학에서>
어떻게
보면 이 책은 다양한 철학자를 제시하며 상반되는 이야기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것 또한 우리 인생이라 생각된다.
파도에
휩쓸려 이리 저리 왔다갔다하는 사람처럼 삶에 정답이 있을까?
우리는
그 때 그 때 우리의 삶에 필요한 것들을 다양한 철학 속에서 빌릴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