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전자, 당신이 결정한다
샤론 모알렘 지음, 정경 옮김 / 김영사 / 2015년 9월
평점 :

유전자라고
어떤 것이 가장 먼저 떠오를까? 나의 못난
얼굴, 아니면
지능. 만약 이런
것이 떠올랐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유전자가 바뀔 수 없는 태생적인 것이라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 맞다. 유전자는
태생적인, 즉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 또한 그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
유전자 또한 유전적으로 바뀔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유전자라는 것이 대물림이 되기 보다는 유연하게 유전될 수 있다고 말한다.
“당신이 어떻게
살아가느냐, 어디에
사느냐, 어떤
스트레스와 맞닥뜨리느냐,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사실 유전자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은 우리의 고정관념을 벗어난다. 그래서 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도 그런 생각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들었다. 똑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더라도 그것이 보여지는 모습은 다르다는, 학술적인
용어로는 유전 발현의 다양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가 갔다. 여기서는
이러한 것을 후성유전학이라고 말한다.
“우리의
DNA 안에 코딩된
운명의 노예에서 벗어나 우리는 우리 안에 상당한 유동성이 있음을 알아내고 있다”
학술적인 것은
굳이 알 필요는 없다. 단지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유전자는 유연해 우리의 노력에 의해 혹은 상황에 의해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책에서 제시한
여왕벌과 일벌의 사례가 그렇다. 똑 같은
유전자를 가졌지만, 로열제리를 더
먹으면 여왕벌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일벌이 된다고 이야기 한다.
이 뿐만이
아니다. 간암이나
스트레스, 왕따 등으로
사람의 유전 발현의 다양성을 겪는다고 말한다. 그래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좋다고 생각하는 음식이 어떠한 사람에게는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동양에서
이야기하는 사상체질학과 맥락을 같이하는 느낌이 든다. 사상체질학이
유전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결국 발현의 다양성 관점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영양에 대한
일반적인 충고가 각 개인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단지 물려받은
유전자 때문만이 아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이 우리 유전자의 행동방식을 완전히 바꾸기 때문이다”
왼손잡이 또한
단순히 유전의 문제가 아니다. 미숙아로
태어난 아이들이 왼손잡이 확률이 두 배나 높다고 이야기 한다. 유전자는
동일할지 몰라도.
결국 이 책이
말하고 싶은 것은 “유전자가 모든
것을 결정하지 않는다. 당신의 삶은
당신이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유전적인
것일 완벽하게 무시할 수 없다. 저자가
셰르파의 사례를 들었듯, 일반 사람들과
달리 어떤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고지대에서 잘 적응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일반 사람들이 고지대를 못가지는 않는다. 개인의 노력에
따라 갈 수 있다.
혹시 현재
자신의 못난 점이 다 자신의 유전적인 것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면, 이 책을 읽고
그 생각을 바꿔보기 바란다. 모든 것이
유전적이라면, 우리의 삶과
인생은 이미 결정났다. 마치 사주에서
당신은 이런 사람이고 앞으로 이렇게 살아야 된다는 것처럼 말이다. 지금이라도 DNA라는 것이
단순히 의학적인 것이라고 생각해보자. 그리고
DNA도 내가
얼마나 노력하느냐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보자. 책 표지에
있는 말처럼 유전자는 주어진 운명이 아니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