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홀로 존재하지 못한다. 항상 누군가와 있어야 한다. 때론 정신적 고독을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가끔은 그런 정신적 고독을 통해 한 인간의 성숙함을 고양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시 인간은 홀로됨을 할 수 없는 존재이다. 한 번 생각해보자. 우린 과연 얼마나 혼자의 시간을 가졌었는가? 태아 때는 혼자였다고? 아니다. 어머니와의 정신적 교감을, 때론 육체적 교감까지 느꼈을 것이다. 인간은 이처럼 항상 누군가와 함께 있음으로 해서 정신적·육체적으로 성장을 해간다.

이 책의 세 편의 소설의 주인공, 미카게, 사츠키들도 그랬다. 할머니를 잃고 홀로 세상에 남겨진 미카게, 애인을 잃고 큰 슬픔에 잠긴 사츠키, 그들에겐 누군가를 잃었다는 것이 보통 사람보다도 더 크게 다가온다. 왜? 그들을 정신적으로 지탱시켜주던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은 역시 공평한가보다. 그들을 위로해 줄 또 다른 주인공, 유이치, 우라라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하루키 현상'에 버금가는 '바나나 현상'을 만들어낸 저자의 의도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실도 그럴 것이다. 누군가를 잃어버리면 또 다른 누군가가 나타나고 계속해서 그 연(緣)은 되풀이된다.

저자는 인생을 긍정적으로 보려는 시도에서 이 소설들을 집필했을 것이다. 짧은 단편 소설에 어떻게 보면 단순하지만 심오한 분위기를 불어넣은 저자는 많은 생각을 했을 것 같다. 주위의 죽음에 이은 죽음과 그 죽음을 극복해보려는 한 인간, 아니 한 인간의 무리들. 유이치와 우라라 또한 주인공들의 아픔을 겪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삶이란 역자의 후기처럼 '상처깁기'를 하는 것인 줄도 모른다. 하지만 상처라기 보다는 인생의 한 경험으로 치부하고 싶다. 상처라고 하면 왠지 쓸쓸하기 때문에. 그래서 이 책은 삶이란 감싸안기를 통해 우리의 일상을 좀 더 내밀히 그려내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때론 저자의 환상적인(?) 분위기는 왠지 이 책을 읽는데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게이바의 주인인 유이치의 어머니 아니 아버지의 분위기, 그리고 어디서 왔는지, 누군지도 모르지만 이상하리만큼 끌리는 우라라의 분위기와 백년만 일어난다는 환상 아니 환영. 어쩌면 이 책 자체도 이해할 수도 없을지 모른다. 이 책의 제목인 키친, 말 그대로 부엌이란 뜻이다. 왜 부엌인가? 이 책의 주인공 미카게가 부엌을 좋아해서, 이 책의 저자가 여자여서.

모두 아닐 것이다. 이 책은 부엌이라는 일상적인 공간을 통하여 인간의 내밀함을 좀 더 그려 내보고자 했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친숙하지만 그 친숙함에 눌려 몰랐던 것을 우리에게 말해보고자 했던 것을 아닐까? 우리 주위의 친숙함을 한 번 생각해보고 그 친숙함을 다시 한 번 새겨보자. 사람이든 사물이든 상관없다. 언제 또 볼 수 있을지 모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