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빨개지는 아이
장 자끄 상뻬 글 그림, 김호영 옮김 / 열린책들 / 199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얼굴 빨개지는 아이>라는 이 책은 단순히 호기심에서 구입한 책이었다. 책 내용이 어떻고 독자들의 반응이 어땠는지는 상관이 없었다. 단지 내성적인 성격인 나에게 얼굴 빨개지는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아이는 왜 얼굴이 빨개졌을까라는 마음속 깊은 곳으로부터 솟구쳐 오르는 호기심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어쩌면 이 아이도 나와 같은 일을 겪고 있을 거라는 동질감으로부터 나온 것 인줄도 모르겠다.

이 책의 주인공 얼굴 빨개지는 아이 마르슬랭은 유난히 갑자기 얼굴이 빨개지는 아이였다. 아니 항상. 얼굴만 빨개졌으면 다행이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상황에 맞지 않게 빨개져야 할 때는 빨개지지 않고, 빨개지지 말아야 할 때는 빨개지는 아주 이상한 병(?)을 갖고 있는 아이다. 하지만 이 병을 누가 탓할 수 있으랴?. 그러나 세상은 참 잔혹하기도 하지. 마르슬랭은 이 희귀병 때문에 따돌림을 당하고 홀로 남게된다. 자연히 혼자 노는 것을 좋아하게 된다.

하지만 재채기를 유난히 자주 하는 로토라는 또 한 명의 희귀병을 가진 아이를 만나고 나면서부터 마르슬랭은 삶의 기운을 되찾는다. 어쩌면 동질감을 느꼈는지도 모른다. 마르슬랭에 동질감을 느낀 나처럼. 둘은 항상 같이 붙어 다니고 조용히 서로의 마음을 알 수 있는 친구가 된다. 하지만 세월은 그 둘을 떨어뜨리고 많은 세월이 흐른 후, 둘은 운명적인 만남을 갖고 다시 어린 시절로 되돌아가기라도 한 것처럼 그 당시 했던 장난과 놀이를 맘껏 같이 즐긴다. 책은 둘의 이런 운명적인 만남으로 끝을 맺는다.

단순하다고?. 그렇지 않다. 이 책의 저자 장 자끄 상빼의 그림과 함께라면 이 글을 단순하지 않다. 진한 감동의 물결이 마음을 뚫고 나올 싶을만큼 감동스럽지 않다고? 그렇지 않다. 빨개지는 얼굴과 재채기라는 콤플렉스를 갖고 있는 아이들이 서로의 마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우리는 그것을 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가를 이 책을 보면서 충분히 느낄 수 있고 생각할 수 있다. 또 바쁜 일상으로 만나고 싶은 사람을 보지 못하고 있던 사람들에게 이 책은 진한 우정을 느끼게 해줄 것이다. 콤플렉스를 가진 사람끼리의 만남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친구로서의 만남을 생각나게 해줄 것이다.

어쩌면 빨개지는 얼굴과 재채기라는 동기가 이 책의 주요 내용인 것처럼 느껴질지도 모른다. 콤플렉스를 갖고 있는 아이들의 진한 우정을 그린. 하지만 나는 이렇게 생각해본다. 콤플렉스는 목적을 위한 단순한 수단일 뿐이다. 이 책의 진정한 목적은 뿔뿔이 흩어져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우정이란 언제나 진한 감동을 주고 또 언제나 함께 할 수 있는 것이 우정이란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 .그래서 나는 이 책의 진한 감동을 더 느끼고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들에게 이 책을 선물하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