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 - 초조해하지 않고 나답게 사는 법
와타나베 준이치 지음, 정세영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 하루가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둔감하게 산다면 어떤 느낌일까? 나 스스로 쳐져있다는 느낌이 들까? 아니면 세상이 변하든 나는 나의 길을 가고 있으니 크게 신경쓸게 없다고 느낄까? 만약 전자라면, <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라는 책을 한 번 펼쳐보면 좋을 것 같다. 사실 나 또한 민감한 편이란 둔감하게 살아도 정말 괜찮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언제까지 무언가를 따라잡으며 산다는 것은 피곤한 일이기도 하지만 자신을 되돌아 볼 시간을 감소시킨다. 그러다 보면 지치고, 방향이 아닌 속도에 스스로 더 민감하게 된다.
 
일본에서 베스트셀러였던 이 책은 둔감력이라는 유행어를 만들어 냈다고 한다. 어쩌면 지금 우리에게 이 단어가 필요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든다. 빨리 가는 것도 좋지만 조금은 생각해보는 시간이 필요하다. 스스로의 삶에 대해 주기적으로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자신에 대해 집중해봐야 한다.
 
자기 분야에서 나름의 성공을 거둔 사람은 그 바탕에 재능은 물론이거니와 반드시 좋은 의미의 둔감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둔감력은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던 재능을 한껏 키우고 활짝 꽃피우게 하는 가장 큰 힘입니다.”
 
앞으로 한 발짝 더 멀리 나아가기 위해서는 계속 나아가서만은 안 된다. 잠깐의 쉼이 필요하다. 그 쉼을 통해서 생각을 정리하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리고 쉼 속에서 온전히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좋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둔감력은 두 사람의 관계를 지탱해주는 큰 힘이라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불쾌한 말이나 행동도 무시하고 넘길 수 있는 둔감한 사람만이 집단 속에서 밝고 느긋하게 일하며 꿋꿋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민감하다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너무 빠른 환경에 익숙해져버리다 보면 자신의 발자취를 보지 못하고 그 속에서 내가 무엇을 얻고 잃었는가를 되돌아 보기 어렵다. 그리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능도 말이다. 때론 천천히 가다 보면 누군가 나의 재능을 알아볼 기회도 있지 않을까?

재능은 있거나 없는 게 아니라 얼마나 끄집어냈는가의 문제입니다. 세상에서 말하는 재능있는 사람은 누군가가 알맞은 때에 적절한 방법으로 재능을 끄집어내준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