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사 안은영 오늘의 젊은 작가 9
정세랑 지음 / 민음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건교사 안은영]


[★★★☆]


[무지개 칼과 BB탄 권총]


[2017. 1. 9 ~ 2017. 1. 10 완독]





 저는 이 이야기를 오로지 쾌감을 위해 썼습니다.

- 작가 -

 <보건교사 안은영>이라는 제목만 보고 빌린 나는 별다른 생각없이 읽어 나갔는데, 이렇게 유쾌한 퇴마 이야기는 처음 접했다. 본디 '퇴마'라 하면 악령을 퇴치하고 억울한 영혼을 구제하며 세상의 균형을 위해서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어둠과 싸우는 비밀결사대'의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다.


 그녀 또한 그렇다. 망자를 보고 망자를 퇴치할 수 있으며, 음울한 산자의 망상까지 없애버릴 수 있다. 이상하게 학교에서 이상한 '것'들이 많이 보여 이를 퇴치하기 위해 조그만한 가방 속에서 꺼내든 것은 무지개색 장난감 칼과 BB탄 권총. 하하하.


 귀신이 보이지 않는 사람 눈에는 뭐하는 걸로 보일까? 분명 진지한 표정으로 무지개 칼에 기운을 담아 휘두르고 BB탄 총알에도 강한 기운이 담겨있을 터인데... 그녀가 퇴마를 하는 모습을 상상하니 미소가 입에 걸린다.



 오래된 절, 사람이 많이 다니는 절에 가서 탑에다가 살짝 손가락을 댄 다음 충전한다.

p50


 자신에게 특별한 퇴마의 소명을 다하려는 그녀의 고군분투가 왜 이렇게 무지개색으로 빛나는지 모르겠다. 본인도 모르는 거대한 방어막을 가진 한문 선생과 함께하는 퇴마 여행(?)는 자못 진지한 상황에서도 유쾌하다. 여학교에 쳐들어가 방석을 훔처 행운의 방석으로 파는 학생들, 퇴마로 돈을 버는 장사꾼과의 다툼, 봉황기운을 가진 오리와 호랑이 기운을 가진 고양이 등등 상상력을 자극하는 요소가 많아서 정말 즐겁게 읽었다.


 더욱이 "재수 옴 붙었다."의 '옴'을 잡는 '옴잡이', 주체못하는 기운의 남학생의 겨드랑이 털을 묶어 그 기운을 다스리게 하는 등의 토속적인 요소도 만나 볼 수가 있어 더욱 재미있었다.



 

 별거 아닌 걸로 거짓말 하는 사람들한테는 꼭 다른 꿍꿍이가 있어.

p244


 학교라는 장소가 그런 것 같다.


 혈기 왕성한 청소년이 많이 모여있는 곳, 무엇이든 생각하고 상상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강한 에너지가 존재하는 곳, 2차 성징의 발현으로 다른 성에 대한 무한한 관심이 켜져 거대한 에로 에너지가 머무는 곳. 그리고 이 거대한 에너지에 반하는 억울한 사고로 죽은 아이가 교실에서 보이는 곳, 시도때도 없이 보이는 여러 종류의 귀신이 있는 곳 등의 온갖 학교 괴담이 존재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런 것을 두고 음양의 조화라고 해야하나? 엄청난 양기와 엄청난 음기가 모이는 곳, 이런 특성때문에 예로 부터 학교는 모든 이야기의 중심이었으니, 어떤 이야기가 나온다 하더라도 항상 새롭고 흥미진진한 것 같다. (우리의 추억속의 학창 시절에 대한 그리움일 가능성도 크지만...)


 이상한게 꾸역꾸역 숨어드는 학교(p190)에서 활약하는 보건교사 안은영과 한문교사 인표. 유쾌하다. 딱, 작가 스스로가 열렬히 원해서 써내려간 책이다.




 봉황 기운 오리라 괜찮을 줄 알았더니, 호랑이 기운 고양이를 잊고 있었네 ……"

p140

 "제 손 좀 잡아주세요."


 "네?"


(중략)


 은영은 아주 강력한 기운이 스며드는 것을 느꼈다.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