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 쉬프트 - 모든 동물의 행동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폴랑폴랑 지음 / 폴랑폴랑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애정이 깊어질수록 소통에 대한 고민도 커진다.

속시원히 대화할 수 없다보니 서로를 이해하는 것에도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아무리 신경쓴다하더라도 알고보니 나의 배려가 반려동물에게는 불편한 행동이었다면 그것만큼 슬픈 일도 없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훈련을 통해 규율을 지키면 편하게 지낼 수 있을 것이라 말하지만 그건 잘못됐다.

대중화된 훈련이 나의 반려동물에는 통하지 않을 수도 있고, 수 만가지 타입의 사람들이 있듯이 반려동물도 그러할 것인데 모든 반려동물을 몇 가지의 틀에 맞춰 정의내리는 건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반려동물의 행동은 보호자가 반복한 잘못된 훈련의 결과라고 보고 있다.

책에서는 훈련사가 아닌 '동물행동 전문가' 가 나온다. 둘의 차이점은 다르다. 훈련사는 우리가 아는 보통 동물에게 규칙을 알려주고 습관을 심어주는 훈련사이고, 동물행동 전문가는 반려동물이 스스로 행동을 선택하고 변화하도록 돕는 사람이다.

사실 누군가와 잘 지내기 위해 상대방을 통제하는 것은 오로지 나만을 생각한 이기적인 방법이다. 서로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은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이고 그 마음이 전달되면 자연스럽게 변화가 이루어지는 아주 기본적인 원리에 기초하고 있는 것 같았다.

단순히 반려동물을 훈련으로 길들이려는 행위는 누군가에게는 통할지도 모르나 누군가에게는 더욱 상황을 악화시키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책에서는 잘못된 훈련과 대중화된 훈련으로 인한 문제점, 올바른 반려동물 인식과 교육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필요한 이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고 있다.

​행동 교정이 필요한 것은 반려동물이 아닌 사람이라는 말이 읽을수록 와닿았다. 나에게 항상 반응해 주길 바랬던 작은 욕심, 그리고 반려동물의 기분이나 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았던 것 같은 행동들 스쳐지나갔던 지난 날들을 반성할 수 있게 한다. 사랑하는 반려동물과 함께 행복하기 위한 방법들을 알 수 있는 기회였다.


우리는 동물이 마음을 허락하는 만큼씩만 다가갈 수 있다.

하나하나, 받아들일 수 있는 거리만큼씩 관계를 쌓아가야 한다.

유전적으로 타고난 행동이라고 해도 환경 요건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행동은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모든 동물은 행동의 결과를 통해 배운다.

행동을 선택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은 동물 당사자다.

한 번 맺어진 부정적 연상은 강렬하며 되돌리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부정적인 경험을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