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왜 사무실을 없앴을까 - 완전히 자유로운 근무 공간과 시간, 유연근무로 앞서가는 기업들 이야기
브라이언 엘리엇.쉴라 수브라마니안.헬렌 쿱 지음, 박소현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때 시작된 재택근무가

활성화되는 것 같더니

어느순간 회사들이 재택근무를 없애고

다시 회사로 사람들을 불러들이기 시작했다.

그들만의 여러 문제가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자유로운 근무 공간과 시간,

유연근무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있는데

그들이 왜 사무실을 없앴는지

이유에 대해 알아보는 책이다.

책에서는 이미 미래가 바뀌었고

점차 변화가 생길 것이라 말하고 있다.

유연근무제를 실행하는 방법

1. 무엇을 위해 변하려 하는지 집중하라

2. 공정함에 집착하라

3. 철저히 구성원 중심으로 하라

4. 과거의 관습으로부터 도망쳐라

5. 디지털 본사를 세우라

6. 사람을 관리하려 두지마라

7. 오직 성과로 판단하라

재택근무는 직원들간의

유대감을 사라지게 만든다고 하는데

사실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언택트에 맞춰 새롭게

온라인 야유회를 열기도 한다.

사실 느끼는 감정은 반반이었지만

디지털 세계를 본사로 삼고

도전하려는 노력이 보였다.

대신 재택근무의 직원은

혼자여서는 안된다.

팀 단위로 근무해야하며

팀 별 목표와 제약이 따라야한다.

그래야만 어느정도의 단점도

지울 수 있고 더 개선하려는

노력도 생긴다는 것에 공감한다.

책에서 바람직한 운영 규정과

그렇지 않은 운영 규정을

비교해서 보여주기도 한다.

미국이라서 이렇게까지

가능한 건가 싶기도 하고

하지만 한 번 일어난 변화는

없어지지 않는다는 말로 보아

결국 한국도 계속해서

변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방식이기에

처음에는 여러문제점도 있고

거부감도 들지만

책의 말처럼

성과측정지표를 만들고

철저히 성과 위주로 간다면

선순환의 길을 갈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주기적으로 피드백하고

모든 사람들은 참여시켜 회의하고

재택근무 특성상 시간제약없이

꼭 참석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모두가 적극적으로 임하게 하는

관리자의 능력만 있다면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다고도 말한다.

읽기만 해도 피곤한데 오히려 제 시간에 퇴근하고

철저한 성과표가 들이밀어지지 않는

오프라인 출근을 선호할 지도 모르겠다

한발짝 나아가는 과도기라서 이렇게 힘들지도 모른다.

유연근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