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 - 청일전쟁부터 태평양전쟁까지
가토 요코 지음, 윤현명 외 옮김 / 서해문집 / 2018년 1월
평점 :
서해문집은 항상 사회적으로 파급력을 가진 신간들을 우리 앞에 내놓았다. 특별히 잊혀져가는 과거 속 추악한 진실을 들춰내고 옳은 길로 가기 위한 이정표로 삼는 일에 투신하는 모습이 독자들로 하여금 이 출판사의 책들을 사랑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든다. 사실 출판사의 출판 정신이 어떠한지는 그들이 번역하고 저자들을 이끌어내는 방식에서 드러난다. 그렇기에 내가 서해문집의 책을 자주 리뷰할 수 있는 것도 그만큼 이 출판사의 독특한 출판 정신이 신학도이자 이 시대의 청년인 나의 사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증한다.
우리 중 대부분은 일본에 대해 좋지 못한 감정을 가지고 있음은 분명하다. 일본 사람들에 대한 일방적인 미움이 아닌, 우리는 잊을 수 없지만 그들은 잊은 듯한 조선 후기의 역사, 나아가 일제강점기의 치욕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 누구라도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전범 국가의 국민들이 모두 자신들의 과오를 덮기에 급급한 것은 분명 아니다. 이는 단지 독일만의 일이 아니다. 오늘의 저자 "가토 요코"와 같은 일본의 지식인들은 군국주의 일본의 만행과 처절한 패배의식을 역사, 특별히 전쟁사의 시선에 비추어 우리에게 드러내고 있다.
서장에서부터 우리는 익숙한 역사가의 서술에 마주한다. <역사란 무엇인가>의 저자 'E.H 카'의 방식처럼 가토 요코는 서장을 통해 역사가의 서술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역사를 단순 암기로 생각하던 이들에게 신선한 충격임 동시에 역사에 대한 자세에 대해 다시금 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서장 이후의 내용들은 일본의 근대시대부터의 역사를 시대마다의 전쟁사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전쟁이 왜 일어났는가?"를 역사가 특유의 분석을 토대로 논리적으로 귀결시키는 것을 따라 읽다보면 어느새 군국주의 일본의 멸망은 지극히 당연했다는 생각에까지 이를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이야기 속에서 내 시선을 사로잡은 파트는 역시나 "왜 진주만은 무방비 상태였나"였다. 저자는 당시 진주만을 공격했던 총지휘관 '후치다 미쓰오'의 입을 빌려 일본이 얕은 수심의 진주만 기지를 공격하지 못할 것이라는 오판의 결과를 보여주는 동시에 "그럼에도" 일본이 이 전쟁을 저지른 것 자체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 전후 그리스도인으로 회심하여 이전의 적국이었던 미국에서 전도대회를 하고 다니며 적장으로 맞붙었던 맥아더와의 조우는 그가 이전 세월의 잘못과 더불어 일본이라는 국가가 사실은 전쟁에 대한 어떠한 명분도 가지지 못한다는 확신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이 부분이 개신교인으로서의 나의 어떠함을 건드린 것도 있지만, 전쟁의 패배한 장수로서 이전의 전투들에 대한 분석과 앞으로의 일본의 자세에 대해서 논할 수 있다는 것이야말로 시대의 리더로서 가져야 할 안목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리더는 실수를 하더라도 그 자리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의 생각과 결정을 이어갈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래야만 공동체는 그러한 리더를 신뢰하고 또 하루의 삶을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일본 독자들의 스테디셀러로 사랑을 받아 온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가 단순한 일본 근현대사 입문서를 넘어, 일본의 변화가 어떻게 현대의 일본을 구성했는지,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급변하는 현대의 동북아 정세를 꿰뚫어 볼 것인지를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의 일독을 자신있게 권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