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책의 제목은 책의 내용과 문제의식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얼굴이라고 생각한다.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 라는 이 책의 제목은 그런 면에서 썩 잘 어울리는 얼굴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같이 읽게된 홍세화의 '세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와 비슷한 책이다.두 저자 모두 우리 사회가 굴러가는 매커니즘을 잘 알고 있으면서 바깥에서 우리 사회를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그리고 무엇보다 '한국'이라는 나라와 그 구성원에 대하여 많은 애정을 가지고 있고 그 애정만큼 신랄한 한국 사회 비판을 보여준다.

전에는 '문제가 있는 것같긴 하지만 어쩔 수 없지 뭐'라고 생각했던 많은 분야 - 교육과 학교, 제자와 선생님, 파업과 노동자, 과거 역사에서의 그리고 현재 진행중인 역사에서의 서구 중심적 시각과 편중, 수많은 차별, 이슬람과 아랍,테러와 전쟁, 영어 구사 능력의 문제, 북한 그리고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의 문제, 외국인이 바라보는 한국의 모습, 심지어 동물원에 깔린 제국주의의 야만성까지 폭넓은 분야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이런 다양한 소재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노르웨이로 시집간 한국 여성의 한국 비판과 애환, 노르웨이에 입양된 뷔레의 노르웨이와 한국에서의 삶, 왕족같지 않은 노르웨이의 왕자와 그의 부인, 그리고 무엇보다도 전에는 이해할 수없다고 생각했던 병역 거부자 오태양씨의 편지글이 기억에 남는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eplica watches 2010-03-22 1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