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를 구한 양의 놀라운 이야기 푸른숲 작은 나무 21
토마 제르보 지음, 폴린 케르루 그림, 곽노경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둘리입니다.

 

오늘은 아침부터 집안을 헤집어서(?) 쓸고 닦고 대청소를 하느라 정신없는 하루였네요. 늘상 신경도 안 쓰고 있다가 찾을 때가 되면 당췌 어디있는 거냐 못찾겠다 꾀꼬리!! 하던 물건들이 속속 보이고.. 이거 뭔가 보물찾기 하는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몸은 곤피곤피 할지언정 깨끗해진 우리 집을 보고 있노라니 자못 뿌듯해 진다는요. 그럼 삭신은 살짝 쑤시지만 홀가분한 마음을 담아 오늘의 간단리뷰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간단리뷰의 주인공은 ‘학교를 구한 양의 놀라운 이야기’입니다.

 

제목만 봐서는 두가지 의문점이.. 첫째는 그 학교엔 대체 무슨일이 있었던 것일까. 두번째는 양이 어떻게 학교를 구했단 말인가.

 

 

좋지 않은 재정상태로 인해 30명의 학생 수가 충족되지 않는 학교는 폐쇄하겠다는 결정을 내린 교육부 장관. 이러한 방침에 29명의 학생 수로 폐교 위기에 놓인 섬 마을 학교. 그리하야 학생 총원 수를 30명으로 채워 줄 한명의 학생이 입학을 하게 되었으니.. 그 학생은 다름 아닌 사람이 아닌 메에에에 ‘양’ 친구 되시겠다. 양이 신입생으로 입학했다는 소식은 온 동네에 두루 퍼지며 큰 이슈가 되고, 급기야 교육부 장관이 섬을 방문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는데.. 간략한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허허.

 

 

저희 와이프님께 책의 줄거리를 대강 말씀 드렸더니 하시는 말씀이, ‘교육정책을 그렇게 번갯불에 콩 볶듯이 하면 쓰나, 학생들을 우선하지 않는 교육정책은 삐삐삐삐삐삐삐’ 뭐 이러시더라구요.

 

 

사실 '폐교를 막기위해 충족되지 않은 학생수를 가축으로 대신하여 채운다’ 라는 발상이 어찌보면 유머러스하기도 하고 귀엽기도 하고.. 뭐 글킨합니다만, 또 이게 마냥 재미있네, 웃기네 하면서 단순히 희화화해서 볼 건 아닌것 같더라구요. 어른들의 이해 관계 뿐만 아니라, 인구 감소나 여러 문제로 인해서 학생 수가 점점 감소하고, 그로 인해 폐교하는 초등학교 이야기는 사실 다른 나라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도 현재 적용되는 이야기이기도 하니까요.

 

 

우리 아이들은 많은 것을 보고 경험 하면서 성장하지요. 그 성장의 요소에 학교는 정말 크나큰 한 축을 담당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시시각각 변화되는 흐름에 발 맞추어 그에 맞는 적절하고 건강한 교육정책. 그리고 아이들과 다각적으로 소통하는 문화가 자리 잡혀야지만.. 뭐 행복한 내일(?)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감히 해보며, 어른들이 꼭 한번은 읽어야 할 법한 동화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지금까지 ‘학교를 구한 양의 놀라운 이야기’의 간단 리뷰 였습니다. 저는 둘리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