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방 일본 추리소설 시리즈 3
다니자키 준이치로 외 지음, 김효순 옮김 / 이상미디어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둘리입니다.



2월도 어느덧 막바지입니다. 근래들어 얇은 외투를 입고 거리를 나서는 사람들을 종종 보게 되는데요, 어느새 봄이 성큼 다가 온 듯 싶어요. 올 봄엔 작년에 못했던 꽃구경도 와이프님이랑 좀 다니고 뭐.. 그러자고 계획은 세워놓고 있는데 과연.. 허허.. 아무쪼록 이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들도 곧 도래할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 봄을 즐거운 마음으로 맞이하시길 바라며 오늘의 간단리뷰 시작해 보도록 하지요.


오늘의 간단리뷰의 주인공은..

제 최애 장르인.. 그렇습니다요. 일본 추리소설.


제목부터 썸뜩하지요. ‘살인의 방’입니다.

 


이상 출판사에서 ‘일본 추리소설 시리즈’라 하여 작년 하반기부터 일본의 고전 추리물들을 연대순으로 독자들에게 선보이고 있는데요, ‘살인의 방’은 그 시리즈의 세 번째 권입니다. 사실 일본 추리물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는 저의 입장에서는 정말 반가운 시리즈가 아닐 수가 없죠.


이번 세 번째 이야기는 표제작인 살인의 방을 비롯하여 총 9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선 한세기 전의 작품들임에도 불구하고 각 작품들의 완성도가 상당히 뛰어납니다.

작품속에 표현되는 극중인물의 심리묘사 라던가, 추리물의 묘미라고 할 수 있는 반전 이라던가..

고전이라 하면, ‘옛날 이야기니까 유치하겠지..’ 이런 선입견을 갖고 계실 분들도 분명 있으실 텐데요. 물론 원체 많은 추리물들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요즘이다 보니, 이 이야기들을 시큰둥해 할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저는 상당히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그 당시 사람들에게 이 이야기들이 얼마나 충격적이었을까 하는 생각도 살포시 해보면서 말이죠.

그리고 9편의 작품들이 살인의 방을 제외하면 분량도 그리 길지 않기 때문에, 짧은 호흡으로 다양한 작가들의 이야기를 쉬이 읽을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장편보다는 단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그런지, 길지 않은 시간을 들여 완독한 듯 싶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살인의 방’과 ‘어떤 항의서’ 이 두 작품이 가장 기억에 남네요.


일본 추리소설을 접할 때마다 그 원천은 과연 어디일까 하는 생각을 종종 했었습니다. 일본 추리문학계는 뭐랄까요. 다채로운 작가진들과 그와 더불어 탄탄한 독자층까지 한데 어우러진 견고한 철옹성 같다 라고나 할까요. 이 시리즈를 통해 그 철옹성의 기초 다지는 과정들을 보는 것 만 같아 꽤나 즐거웠습니다. 다른 한켠 으로는 엄청 부럽기도 했구요.


좌우지간.. 끝으로 우리 국내 추리문학계의 부흥의 그날을 기원하며 (얘기가 어캐 이렇게 마무리가 되네요. 허허..) 오늘의 간단리뷰 '살인의 방'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둘리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