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부자 가계부 - 쓸수록 돈이 모이는 가장 쉬운 재테크
위즈덤하우스 편집부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위즈덤하우스 블로그 이벤트에 당첨되어 받게된, 2018 부자가계부

총 378쪽에다 양장본이기 때문에 묵직한 두께감, 무게감이 느껴진다.

 

 

 

가계부의 띠지 뒷면에는 요즘 핫한 '김생민의 영수증' 명언들이 담겨있다.
보통의 가계부들은 그냥 가계부를 사용하는 방법, 설명 정도의 글이 담겨있는 반면
(혹은 간단한 요리레시피, 생활 정보 등)

이 2018 부자가계부는 앞의 약 50쪽 정도를
'왜 가계부를 써야하는지' 와 '어떻게 써야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채우고 있다.

 

 

 

"우리가 돈이 없는 것은 돈을 적게 벌었기 때문이 아니라,
쉽게 생각나지도 않는 온갖 자잘한 것들에 돈을 썼기 때문이다."

사실 이 부분은 어느 정도 타당성은 있지만 저자의 의견에 100%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자잘한 소비구멍들이 모여서 큰 구멍을 내는 것은 분명히 맞지만,
​애초에 소득의 파이가 너무 작으면 아무리 소비구멍들을 틀어막더라도
고정지출을 제외하고 나면 남는 돈이 적을 뿐더러
돈이 모이는 속도가 너무 더디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취지에서 이 말을 썼는지는 분명히 알겠다. :)

 

 

 

내 경우에도 '숨만 쉬어도 나가는 돈'
월급에서 바로 원천징수되어 내보내야만하는 돈이 상당히 있다.
그래서 그런 고정지출을 제외하고 나머지 급여를
내 '순 월급'이라고 생각한다.
현재의 시점에서는 고정지출을 당장 줄이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내 가계의 구조조정을 통해

이 고정지출도 줄이고 개선해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 다음 해의 다이어리나 가계부를 사면
왜 꼭 미리 쓰고 싶은 마음이 드는지 모르겠지만,
이 가계부는 그런 소비자의 마음을 간파했는지
'마음을 가다듬는 매듭달'이라는 멘트와 함께 2017년 12월부터
가계부를 쓸 수 있게 서비스 1달치를 더 제공하고 있다.

 

 

 

매일 기록을 한 뒤에는 월말 결산을 통해서
그 달에 아낄 수 있던 금액의 총계를 계산해보도록 되어있다.

이 과정이 초보자에겐 힘든 과정일 수도 있겠지만
얼마를 썼다고 단순히 수치를 기록하는 것만으로는

가계부를 쓰는 의미가 크게 없기 때문에
힘들어도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총  평>
좋았던 점​ : ​기본에 충실한 군더더기 없는 가계부이다.

손으로 쓰는 가계부이지만
매월 결산, 연간 결산(항목별 소비, 전체 수입과 지출)을 하게 하고
직접 그래프를 그리는 것까지 유도하고 있기 때문에
엑셀가계부를 종이에 옮겨놓은 것 같기도 하다.


아쉬웠던 점 : 초보자가 1년 내내 이 가계부를 채워나가기엔
약간의 어려움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