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대한민국의 멘토 열풍은 힐링 트렌드란 순풍에 힘입어 광풍 수준이었다. 먹고 살기 힘들고 고민이 많아지는 시기, 특히 혼란스러워하는 청년들에게 이들의 강연, 책 등은 불티나게 팔렸다. 하지만 모든 현상에 명과 암이 있듯이, 멘토 열풍은 기호 3번 안철수의 실망감과 더불어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중고서점에선 그의 책을 매입하지 않을 정도니 인기와 비례해 실망도 제법 컸나보다.) '아프니깐 청춘이다'란 희대의 꼰대 멘트를 남긴 김난도의 뒤를 이어 안철수도 꺾였다. '인문학'이란 새로운 소스를 벗삼아 달콤한 말로 책과 강연을 팔려는 이들도 줄을 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여덟 단어>는 비슷한듯 비슷하지 않았다.

"귀를 기울여주시되 큰 기대는 하지 않길 바랍니다. 인생은 강의 몇 번, 책 몇 권으로 변하지 않으니까요."

<여덟 단어>는 카피라이터 박웅현의 강의 8개를 모아둔 책이다. 솔직하게 자신의 견해를 팁 정도로 전달하려는 그의 인사말이 오히려 신뢰가 가더라. 그는 자신의 딸에게 알려줬듯이 "첫째가 인생에 공짜는 없다는 것, 둘째가 인생은 마라톤이라는 것, 셋째가 인생에는 정답이 없다는 것이다." 3가지 팁을 바탕으로 '자존, 본질, 고전, 견, 현재, 권위, 소통, 인생'을 이야기한다. 자신의 이야기를 맹신하지 말고 인생에 정답과 오답이 공존한다는 걸 기억하란 메시지를 개인적인 경험과 함께 소개한다.

"오빤 왜 그렇게 생각이 없어?"

나름 타인의 생각을 읽고, 그들의 관심을 소비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 업인 광고인도 부인에겐 타박을 듣곤 한다. 파마를 먼저 마치고 여유롭게 앉아서 이 책을 읽던 도중 무릎을 탁 칠 정도로 공감했다. 어쩔 수 없는 남성과 여성이란 종족의 특성을 정확히 꿰뚫는 점에서 한계와 발전 가능성을 엿보았다. '회의를 하기 전 커피 2잔을 마신다'란 명제를 대하는 남녀 차이의 예시를 보니 더욱 와닿더라. 여자는 시간은 오후 다섯 시라 모두 약간 시장하지만 저녁 식사를 앞두고 뭔가를 먹기 부담스러워 시키지 않은 머핀 하나를 같이 사온다. 두 사람의 허기를 채우지만 과하지 않은 분량을 '생각'해낸 것이다. 하지만 대다수 남자는 정말 마실 것, '커피'만 사온다. 끝.

이런 기막힌 예시를 보면 상대를 배려하고 센스있게 행동하는 능력 자체가 여성이 뛰어나다. (반대로 남성은 일반적으로 집중력과 추진력이 뛰어나다고 말한다. 단순무식으로 치환될 수도 있지만.) 내가 상대를 답답하게 하는 일을 복기해보면 대다수가 곧이곧대로, 있는 그대로 행했기 때문이다. 이런 커뮤니케이션의 부재보다 거듭된 실수가 더 많지만. 설거지를 부탁하면 정말 유리잔을 닦고 끝이 아니라 주변에 생긴 물때를 닦고, 마른 식기를 정리하고 음식물 쓰레기까지 마무리해야한다. 샤워기 헤드를 바꾸면 기존 헤드는 버리는 게 아니라 혹시 모를 따가움, 녹물, 고장에 대비해 보관해두는 게 정답이다. 여전히 서툴고 어렵다. 하지만 단순히 시키는 일만 수동적으로 해서는 결코 상대의 마음을 얻을 수 없다. 조금 더 깊이 생각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배려하고 판단을 내리자. 그리고 모르면 물어보고. 아직 오랜 시간은 아니지만 나름 값비싼 대가를 주고 얻어낸 삶의 지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