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 민음사 모던 클래식 41
다니엘 켈만 지음, 임정희 옮김 / 민음사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 속의 이야기 속의 이야기'

"잊히고, 사라지고, 자신을 잃어 가고, 해체되는 것에 관한 책"

독일 문학의 차세대 유망주 다니엘 켈만의 <명예>를 설명하는 한 줄은 강렬했다. 액자식 구조를 넘어서는 러시아 인형 마트로슈까를 연상시킨다는 추천평 역시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마치 단편 여러 개를 다 읽고 나면 전체적인 그림이 완성되고 엄청난 반전을 찾아낼 것만 같았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독서의 진도가 쉽사리 나아가지 않았다. 오히려 사무실에서 짬짬이 시간 날 때마다 읽다 보니 이야기의 흐름이 이어지지 않았고, 오래 묵혀둔 느낌이었다. 중반을 넘어가자 어느덧 의무감에 단편을 빠르게 읽어나갔고 다 읽고 나니 애초에 기대했던 반전보다는 밀린 숙제를 끝낸 기분이었다. (아내 한나와 애인 루치아 사이에서 이중생활을 하는 이동통신사 팀장의 이야기 '내가 어떻게 거짓말을 하며 죽어 갔는지'가 그나마 제일 흥미진진했다.)


나는 '슈퍼무비스'에 포스팅을 많이 하고, '저녁뉴스', '리터러쳐4유'와 '토론 사이트'에도 글을 게재하지만 허튼소리를 써 대는 블로거들을 보면 그냥 넘어가지 못한다. 닉네임은 늘 '몰위트'로 쓴다. 실제 인생(진짜 인생!)에서 난 삼십 대 중반으로 키가 상당히 크고 약간 뚱뚱하다. 주중에는 넥타이를 매고 돈벌이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회사를 다니는데, 그건 여러분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인생의 의미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그래야만 한다. 내 경우에는 분석, 관찰, 토론의 글쓰기가 인생의 의미다. 문화, 사회, 정치적인 일에 기여하는 것이.

- <토론에 글 올리기>


소설은 휴대폰, 컴퓨터, 인터넷 등 우리 일상에 너무나 녹아든 기계에서 소외된 인간의 본질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잘못 걸려온 전화로 시작되는 '목소리', 언젠가부터 전화가 오지 않는 유명 배우 랄프의 이야기 '탈출구', 낯선 곳에서 휴대전화 배터리가 나가 세상과의 소통이 단절된 마리아의 이야기 '동양'. ('내가 어떻게 거짓말을 하며 죽어 갔는지'에서 그 비밀이 풀리지만, 앞선 이야기가 기억나지 않는 나에게는 무의미한 복선이었다.) 아홉 개의 에피소드들은 퍼즐 조각처럼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공통점은 그저 통신 기기가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캐릭터가 캐릭터를 만들고, 다시 그 캐릭터가 또 다른 캐릭터를 만들며 이어지는 단편은 그 자체로 실험적이고 색다른 접근 방법이었다.


과연 휴대폰 없이 하루를 살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당당하게 '네'라고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영양가 없는 스팸이 뒤섞여 쉴 새 없이 울려대는 전화벨, 무의식적으로 새로 고침을 누르게 되는 자극적인 SNS, '읽음' 표시가 서로에게 더욱 부담스러운 카카오톡. 가장 편리하고 효과적인 소통 수단이 휴대폰인 시대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결코 타인과의 관계에서 완벽히 자유로울 수 없다. 하지만 수단과 본질이 뒤바뀐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타인과의 소통이 목적인 휴대폰이 오히려 타인과의 소통을 방해하는 걸림돌이 되어버렸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진정 필요한 정보를 토대로 유의미한 소통을 하는 건 엄청난 장점이다. 명예를 잃어버리는 일, 명예를 얻는 일. 통신 기술을 통해 포장되고 결정되는 소설 속 사회는 실제 현실과 무척 맞닿아 있다.


스페인 여행을 떠났을 때 가장 골치 아팠던 것은 '휴대폰'이었다. 내 손안의 작은 아이폰은 여행에서 필수불가결한 존재였다. 아름다운 풍경을 담을 카메라면서 동시에 구글맵 기능을 통해 목적지를 안내해줄 지도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야심 차게 가져간 충전기는 보기 좋게 고장이 났다. 보조배터리는 당연히 유명무실한 짐이 되어버렸다. 버티고 버티다 눈물을 머금고 산 중국산 충전기는 일회용이었다. 산 지 이틀 만에 보기 좋게 고장이 나버렸고, 결국 호스텔 데스크에서 빌리며 겨우겨우 연명했다. 식당에 가서도 항상 콘센트를 제일 먼저 찾기 바빴고, 여행 중간에 호스텔로 돌아와 충전을 위해 반강제로(!) 휴식을 취하기까지 했다. 사실 돌이켜보면 휴대폰이 없이도 여행을 이어갈 수 있었다. 아름다운 광경은 눈으로 담을 수 있었고, 지도는 종이로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었다. 그저 내가 더 익숙한 기계에 지나치게 의존했다. 일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떠난 여행지에서도 결국 넓은 자연이 아닌 작은 디지털에 사로잡혔다.


결국 본질은 '소통'이다. 디지털인지, 아날로그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단순히 수단의 문제가 아니다. 면대면으로 대화한다고 해서 진심을 다해 소통한다고 보장할 수 없다. 오히려 상대를 속이고, 피상적인 관계를 맺는 건 마주 보고 하는 편이 더 쉬울 수도 있으니. 그렇다고 모두에게 진심을 담아 소통할 필요는 없다. 100명의 사람에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소통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진정 나를 이해해주고 소중히 여기는 단 한 명의 사람만이라도 남는다면 그게 바로 성공이다. 최신 기기가 사람들 사이의 벽을 만든다는 건 핑계일 뿐이다. 오히려 기계가 우리를 가깝게 해주는 긍정적인 사례도 매우 많기 때문이다. (멀리 있는 할머니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일, 행복한 가족 사진을 휴대폰에 담아두고 힘들 때마다 보는 일, 차마 눈앞에서 하기 곤란한 이야기를 전하는 일. 등) 모두를 충족시킬 수 없다면, 애써 그런 관계에서 오는 오해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게 좋다. 결국 진심은 통하기 마련이고, 마음이 맞는 이가 중요한 법이니 말이다.


"충고 한 마디 덧붙이죠. 지금 보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전화하세요. 인생은 아주 빨리 지나갑니다. 그러라고 조그마한 휴대전화기가 있는 겁니다. 그래서 모두들 이 전자용품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거잖아요. 안 그래요. 신사 양반?"


"왜 이렇게 안 되는 일이 많은지 묻고 계십니까, 신사 양반? 사람들이 많은 걸 되고 싶어 하기 때문이죠. 말 그대로입니다. 사람들은 많은 게 되고 싶어 하죠. 다양하게. 여러 개의 삶을 원합니다. 하지만 표면적으로만 그렇고, 내심으로는 그렇지 않아요. 마지막 갈망은 하나가 되고 싶어 합니다. 자신과 모든 것과 말이죠."

- <내가 어떻게 거짓말을 하며 죽어 갔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