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동도의 욕심쟁이 마을
김현정 지음 / 한림출판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서평/교동도의 욕심쟁이 마을

출처 입력

인천 마을 설화 이야기 그림책,

교동도의 욕심쟁이 마을 이야기를 읽어보았다.

전형적인 권선징악 이야기인데

액자식 구성으로 되어 있어

마치 그 옛날 전설의 고향을 보는 것처럼

몰입해서 보게 되었다.


지금은 다리로 연결이 된 교동도는

옛날 옛적에는 강화도 옆에 있는 섬이었다.

간척으로 인해 해안선이 많이 바뀐 것도 보인다.

교동도에는 정주마을이라는 부자마을이 있었다.

땅이 좋아 농사가 잘 되어

다른 집보다 훨씬 부유하게 사는 곳이다.

마을이 번쩍번쩍하고

주민들의 옷이 무척 화려하다.

다리에는 청동장식을 해두어

빛과 소리가 요란하다.

가진 것이 많으면 나누어줄 법도 한데

정주마을의 사람들은 마음의 여유는 없나보다.

시주를 받으러 온 스님에게

공양미 대신 막말을 퍼부으며

놀려대기만 하는 정주 마을 사람들.

딱 봐도 스님의 머리통이 동글동글한데다

범상치 않은 눈썹과 수염, 귀를 가졌는데도

이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나보다.

스님이 돌아가고 며칠 뒤

정주마을에는 폭우가 쏟아져 마을이 물바다가 된다.

마을이 있던 곳은 갯벌이 되고

그 뒤로 썰물 때가 되면 정주마을의 청동 다리에서

쩔그렁 덜커덩 소리가 들려온다고 한다.


전형적인 권선징악의 이야기지만,

이런 이야기가 참 재밌는 법이다.

클래식은 영원한 법.

갯벌에서 덜커덩 소리는 들어본 적이 없지만

왠지 다음에 갯벌에 가면 

그 소리가 들릴 지 귀를 쫑긋하고 있을 듯 하다.

남에게 베풀지 못하는 이는

아무리 잘나도 절대자의 노여움과 같이

한순간에 가진 것을 잃을 수 있게 된다.

그러니 평소 나누고 살아야한다는 교훈을 주는 이야기,

교동도의 욕심쟁이 마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