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민음사 오늘의 작가 총서 7
윤흥길 지음 / 민음사 / 2005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 민족의 비극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는 장마를 읽으며, 우리 민족의 고통이 한 폭의 수채화처럼 눈에 펼쳐지는 듯 하였다. 우선 '장마'라는 제목이 갖는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이 소설과는 별개의 이미지를 굽어보면 눅눅하고, 언짢은 느낌이 연상된다. 그칠줄 모르는 비, 장마와 이 소설의 내용은 매우 밀접한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 소설의 시점을 살펴보면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서 어린아이의 눈에 비친 상황을 객관적 측면에서 보여주고있다. 또한 토착적인 느낌을 받게되는데 사투리의 사용과 무속신앙 등이 그 원인이라고 할 수있다. 나는 이 소설에서 외가와 친가의 식구들이 한집에서 살고있다는 배경설정에 매우 신선함을 느꼈다. 하지만 빨치산과 국군이라는 대립을 내포하고있는 데에는 아이러니를 느낄 수 있었다.

이 소설에서 '구렁이'라는 소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구렁이는 죽은 삼촌의 현신, 저주받은 사람이 환생한 것등으로 볼 수가 있는데 동시에 가족들의 사랑과 협력으로 난관을 극복할수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매개가 된다. 구렁이로 환생하여 돌아온 삼촌을 외할머니가 회유하여 보냄으로써 불화와 반목을 극복하고 화해를 하게 되는데 이는 남과 북의 화해를 염원하는 작가의 마음이 들어가 있다. 장마라는 소설은 동족상잔의 비극을 다시한번 느끼게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읽고 또 읽어도 나중에 다시한번 읽고 싶을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