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키퍼스 와이프
다이앤 애커먼 지음, 강혜정 옮김 / 나무옆의자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던 <주키퍼스 와이프>의 원작이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책이다.

이 책을 읽기 전, 영화로 먼저 만났는데 영화에는 표현되지 않은 더욱 상세한 내용을 알고 싶어 원작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책은 이야기의 중심인물인 안토니나 자빈스키의 일기와 메모에 기초한 회고록을 기초하여 여러 박물관에 전시된 문서와 자료를 토대로 썼다고 한다.

책이 쓰이기까지 참고한 자료의 양만해도 다양하고 방대함을 알 수 있다.


얀 자빈스키와 안토니나 자빈스키 부부는 폴란드인으로 기독교도이며, 동물들을 보살피는 동물원 사육사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유대인에 대한 학살이 심한 상황에서 자빈스키 부부의 영웅적 행동은 존경할 수밖에 없다.


부부의 외모 묘사로 시작되는 이 책은 평화로운 동물원의 일상을 따뜻하게 전하면서 포문을 연다.

하지만 곧, 나치 폭격기로 인해 동물원이 파괴된다.

아수라장이 되어버린 상황이 영화로 봤던 장면과 맞물려 눈앞에 생생히 그려졌다.

혼란스러운 와중에 안토니나와 사육사들은 동물원을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다친 동물들을 구조하는데 여념이 없다.

동물의 생명을 소중히 하는 안토니나의 모습에서 유대인들을 동물원에 숨겨주었던 자비로운 마음이 오버랩되었다.


나치 수석 동물학자 루츠 헤크는 베를린 동물원 원장으로 자빈스키 부부와는 국제동물원장협회 연례 회의에서 만났다.

나치가 멸종 위기 동물과 서식지 보호, 멸종된 혈통 복원에 노력을 기울였다는 사실은 여러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나치의 인종주의에 혐오를 느끼고, 동물원은 도망자들을 숨겨주기에 좋은 조건이 아니었음에도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유대인을 돕기로 한 부부.

독일군의 감시 속에서 생명의 위협을 느끼며 유대인들을 숨겨준다.

나치에 항거하는 지하 운동 조직원과 유대인 도망자들을 숨겨 주었는데, 그들을 동물 이름으로 부르며 신분을 숨겼다.


여느 전쟁의 환경이 그러하듯 지치고 병들고 굶주린 사람들의 모습이 참담하게 그려지고, 그런 배경을 바탕으로 자빈스키 부부의 용기 있는 행동은 더욱 숭고하게 느껴진다.

많은 이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실화를 책으로라도 만나볼 수 있어서 뜻깊은 시간이었다.

부부의 멋진 모습은 훗날 이렇게 책과 영화로 제작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