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재발견 - 마흔 이후, 어떻게 살 것인가
바버라 브래들리 해거티 지음, 박상은 옮김 / 스몰빅인사이트 / 2017년 6월
평점 :
품절


보통 중년이라고 하면 4~50대를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그 40대를 곧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다가올 중년은 두려움이 더 컸다.
중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이 책 소개를 보게 되었고
이런 책을 읽게 되면 중년이 주는 두려움을 이길 수 있을까? 하는 작은 기대감으로 시작 했다.


이 책을 쓴 작가 또한 별 준비없이 중년을 맞이 하였고,
중년이 가져다 주는 위기를 겪으면서 중년에는 누구나 할 것 없이 위기를 겪는가? 에 대해 의문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보며 중년의 삶이 불행하고 우울한가?에 대해 정리 해 놓았는데

결론만 놓고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거 처럼 중년은 그리 우울하지 않았다.


인생에 있어 누구나 불행과 행복을 겪게 되는데 그게 중년이라고 해서 더 불행하거나 우울하지 않았다.
오히려 세상을 살면서 얻은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생활의 사건 사고를 잘 이겨낼 수 있었고 그에 따른 만족감이 있는
중년이 더 많았다.


이 책에서는 중년엔 가족의 이별이라던가, 익숙한 것과의 이별(예를 들면 퇴직같은)이 삶에 있어 커다란 변화를 주고,
이로인해 감정의 변화가 커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를 잘 이겨 내기 위해서는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다고 말해주고 있다.
친구들과의 우정이, 가족들간의 사랑이 중년의 삶을 즐겁게 해 준다.

어느 세대 할 것 없이 인간관계의 소중함은 꼭 필요한 거 같다.
또한, 중년이 되면 가장 걱정하는 부분이 건강문제 인데 이 또한 희망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해 주었다.
중년의 뇌 역시 계속 사용하고 노력하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고, 평소의 마음가짐이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처럼 중년이라고 해서 꺼져가는 불씨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내 노력에 따라 다시 활활 타오르는 불이 되어 갈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에서는 말해주고 있었다.
나이 먹었다고 활동에 있어 제약을 두지 말고 이 전보다 더 적극적인 삶을 살며, 주변의 많은 사람들과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한다면 이 전 청년의 시기보다 더욱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해준다.


누구에게나 중년은 찾아오고, 그 중년을 우울하게 보낼 지 행복하게 보낼 지는 본인의 선택이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청년이 지나면 중년이, 중년이 지나면 노년이 오게 되어 있는데 이 시기를 즐겁게 보내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 책을 알려주고 싶다.
사실 이 책에 나오는 내용이 생전 처음 보거나 하는 내용은 없다.
언젠가 한 번씩들은 들어 온 내용이고 봐 왔던 결과에 대한 이야기만 모두 스쳐 지나간 이야기였지 머리속에 남아 있는 내용은 없었을 것이다.
한 번씩은 보았기에 어렵지 않은 이 이야기를 이렇게 한 권으로 묶어 정리 해 놓으니 훨씬 머리에 잘 들어오고 남아 있게 되는 거 같다.


중년이라고 불리우는 나이의 사람들은 꼭 읽어 보길 바라며 우리의 중년 모두 화이팅!!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