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은 옷을 입지 않는다 - 인류 최후의 에덴동산, 아마존 오디세이
정승희 지음.사진 / 사군자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구상에 존재를 하는 가장 긴 강의 하나라고 할수가 있는 남미의 아마존강 유역에서 살아가는 인디오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 일을 자신의 천직으로 알고 살아가는 작가가 자신이 그동안의 긴시간동안 촬영을 하면서 만난 원주민들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는 책이다.

 

1. 아마존강의 원주민들

남미의 많은 부분을 점유를 하고 주변의 광대한 숲으로 인해서 지구의 허파라고도 불리고 있는 밀림지대 인데 그곳에서 자신들의 전통을 지키면서 살아가고 있는 원주민들을 만나서 배우고 알아가는 내용들을 담고 있는데 과거에는 자신들의 문화를 지키면서 자유롭게 살아가던 그들이 백인들의 침략으로 인하여서 많은수의 사람들이 죽어갔고 지금도 그들이 남긴 각종 질병과 환경의 파괴로 인하여서 많은 고통을 받고 있는 모습도 그리고 있다.

 

2. 기이한 문화

세계 각지에서 벌레를 음식으로 먹는 문화가 있는데 당연하게도 아마존에 살아가는 사람들도 그들만의 손쉬운 단백질 공급원으로 벌레를 먹는다.

이들이 문명의 혜택을 받지를 못하였지 때문에 벌레를 먹는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전통적인 문화이고 그들의 식문화라는 사실에 대하여서 색안경을 쓰고 바라보는 경우가 많은데 자신의 문화를 자랑을 하는 프랑스인과 그리스인들도 달팽이라는 벌레를 아주 고급음식으로 생각을 하고 먹는것을 보면 아마존의 사람들이 벌레를 먹는것도 그들만의 문화라고 인정을 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을 한다.

 

아마존강 유역은 건기와 우기로 나누어 지고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서 곤충이 많은데 곤충의 종류가 해충도 포함을 하는 것이라서 그곳에 사는 모기들은 그종류와 독성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모기와는 틀리다고 한다.

그곳에서 적응을 하고 살아온 사람들에게는 별로 피해가 없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은 그곳에서 살고있는 벌레에 대하여서 적응을 하기가 어려운데 그러한 현상은 오랜 시간을 그곳에서 생활을 하면서 많은 부분이 익숙한 저자도 버티기가 어려운 부분이었다고 한다.

 

옷을 안 걸치고 살아가는 그들의 문화는 옷감을 만들수 있는 작물의 재배가 어려웠다는 환경과 옷을 입고 살아야만 하는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을 한 일면과 그들의 환경이 옷을 입으면 더욱 움직이기가 어려운 것도 큰 역활을 하였다고 생각을 한다.

 

3. 원주민의 고통

오랜 세월을 아무런 제약을 받지를 않고 살아온 사람들에게 갑자기 사람들이 나타나서 자신의 땅이라고 하면서 다른곳으로 이전을 요구를 하고 자신들의 땅에 도로를 만들면서 숲을 파괴를 하고 금광을 개발을 하면서 환경을 오염을 시키는등 주변의 변화로 인하여서 자신들의 전통을 지키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숫자가 갈수록 줄어들고 문명사회로 들어오는 사람의 숫자가 늘어나는데 그들이 도시에서 살아가기에는 자신들과 다른 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틈에서 돈을 버는 행위는 너무나 어려운 일이라서 빈민으로 전락을 하고 자신들의 문화를 팔아서 살아가는 부족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왜 원주민들이 그들의 의지대로 살아가는 방식을 영위를 할수가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을 하지를 않고 그들을 자신들이 사회로 받아들이려는 노력만을 하는 것일까?

 

원주민들이 살아가는 지역은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원자재의 폭등과 농경지의 확장으로 인하여서 숲을 개발을 하면서 그들의 땅을 개발을 하라는 압력이 강하여 지고 있고 사람들을 자신들의 눈으로 보기에는 인간이하의 생활을 한다고 믿어지는 사람들에게 진정한 문명의 혜택을 베푸는 것이라고 믿고 있는 사람들로 인하여서 안그래도 살아가는것이 어려운 그들의 생활이 망가지고 있다고 볼수가 있다.

 

4. 파라다이스

도시에서 좁은 아파트에서 살아가고 자연의 혜택을 직접 경험을 못하고 살아가는 많은 현대인들의 눈에는 그들이 아무런 근심이 없이 살아가는 모습이 이상향으로 보일것 같은데 그들만의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그들을 진정으로 돌울수 있는 일들을 행하는 사람이 되어야 겠다고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