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손세훈 > 현대문화의 비평
현대 사회와 예술 인문 예술 총서 4
발터 벤야민 / 문학과지성사 / 1980년 8월
평점 :
절판


97년에 발표된 창작과 비평사 신인평론가상을 수상한 작품은 '보들레르와 근대'이다. 이 글을 접했을 때의 느낌은 참으로 묘했다. 어디서 베낀 것일까? '상상'이나 '문학동네'에 나오는 평론들은 그 논지들의 출처를 어느 정도는 짐작 할 수 있었지만 이건 잡히지 않았다.

보들레르라는 한 세부적인 항목에서 이끌어 내는 그 추론 전개 방식과 이미 당연하다는 듯이 내뱉는 전제들의 깊이는 참으로 조화로웠다. 아무리 서울대 출신이 다르다지만 이렇게 글을 쓸려면 최소 불문학 10년은 너끈하게 해야 나오는 글일텐데, 더구나 영문학도가, 나이도 그렇게 많지 않은 것을 생각하면 무척 대단하다고 생각되었다.

더군다나 그로 인해 발생된 일종의 좌절감은 한동안 나의 책읽기를 방해하는 한 원인 노릇을 톡톡히 했다. 이 책은 그 출처를 담고 있다. 서울대 영문과 대학원 1학년이 벤야민을 텍스트로 한다는 것은 알았으나 그 벤야민이 보들레르에 대해 상당히 많은 자료를 남긴 것 몰랐던 것이다.

기껏해봐야 비판이론과의 유사성과 지식사회학과의 막연한 혼동만이 있었기에 그 전집 목록을 찾아보지 않은 실수였다. 이 책의 2장 예술가의 고뇌 中 중앙공원이란 곳에 보들레르에 관한 파편적인 시각들이 듬뿍 들어있다.

이 책은 번역자가 벤야민의 전집에서 중요한 부분만을 짜집기해 놓은 책이다. 따라서 다른 출판사에서 나온 것도 있지만 여기서는 주로 문학과 예술에 대한 것만을 소개한다.

벤야민의 유명한 용어 '아우라 aura'는 그가 텍스트를 접하는 방식의 분명한 방법론을 읽을 수 있는 말이다. 이는 한 예술 작품이 탄생하게 되는 여러 요인들의 종합을 일컫는 말이나 흔히 얘기되어지는 사고의 물질적 바탕 같은 시대나 역사에 국한 된 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창조성, 감정 이입, 모방, 공동체험, 환상 같은 한 작품이 담고 있는 모든 외적인 것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상황적 요소들인 형태나 이념들에 반해 그가 강조하는 것은 작품 개개들의 발생적인 요소들, 내부에서 통일되어지고 스스로 구성되는 그러한 완결들의 연관이다. 작품이 소우주로 비유되는.

이러한 두 극단의 접합은 벤야민의 유명한 말 '문명의 역사는 야만의 역사' 에서도 보여지듯이 이중적으로 사고하되 그 안에서 융화시키는 독특한 시각의 중심을 이룬다.

이러한 분석틀에서 그가 초현실주의- 루카치가 그렇게 비판한-의 이념을 옹호하는 타당성을 찾을 수 있기도 하는 것이다.

'자유란 그것이 계속되고 있는 한 자유의 충만 속에서 그리고 실용주의적인 계산도 없이 무제한적으로 향유되기만을 원하는 것임을 그들(초현실주의자들)은 확신 하기 때문이다. ........ 혁명을 위한 도취의 힘을 얻는 것, 이것이 초현실주의의 모든 시도와 저서에 나타나 있는 중심과제이다.'

책을 읽을 때 중요한 것 한 가지는 말하고 있는 이의 틀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하는 좋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