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공화국
안드레스 바르바 지음, 엄지영 옮김 / 현대문학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명과는 거리가 있는 듯한 밀림의 도시 산크리스토발에 어느날 갑자기 등장해 티롤처럼 떠돌아 다니는 32명의 아이들과 그들을 바라보는 사회복지사의 1인칭 시점의 소설이다. 보통 1인칭 소설은 화자의 시점을 따라 자연스럽게 읽히는 편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다시 앞으로 가기를 반복한다.

"산크리스토발에 도착하자 처음에는 모든 것이 꿈 속처럼 아득하기만 했다. 잠시 후, 다시 정신이 들자 가난에 찌든 처참한 현실이 별안간 눈앞에 밀어닥쳤다. (중략) 산크리스토발의 시장이 한 말에 따르면, 그림처럼 아름다운 풍경 뒤에는 늘 더럽고 불결한 현실이 숨어 있다고 했다. 그의 말은 과장 없이 있는 그대로의 사실이었다." (p.15)

산크리스토발에서 목숨을 잃은 32명의 아이들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마다 다른 대답을 하곤 한다는 이야기로 말문을 여는 화자. 인디오 공동체 통합계획의 성공에 힘입어 아내와 의붓딸과 함께 평범한 소도시 산크리스토발로 부임한다. 평화롭다 못해 무료하기까지 한 도시 였던 이곳은 어느날 홀연히 나타난 정체불명의 아이들로 인해 균열이 시작된다.

너댓명씩 무리를 지어 다니며 조직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던 아이들은 급기야 오랜시간 준비한 사회복지과의 크리스마스 행사를 망쳐버리고, 다코타 슈퍼마켓을 습격해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강력범죄를 저지르고야 처음처럼 홀연히 사라지고 만다. 만약,,, 그들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었다면 비극이 일어나기전 나를 비롯한 우리들은 아이들의 죽음을 막을 수 있었을까,,,

정갈하지 않은 모습과 자신들만의 언어를 사용하는 32명의 아이들은 평범하기 그지없는 산크리스토발을 흔들기에 충분했다. 기이한 모습으로 등장한 아이들은 산크리스토발 사람들의 동정의 시선을 이내 특유의 폭력성으로 말미암아 적대감으로 변모시킨다. 그들만의 규칙을 지키며 놀이하듯 산크리스토발을 훼집어 놓는 아이들. 그리고 그들을 동정의 시선에서 적대감으로 밀어내는 어른들. 두 집단은 서로의 영역을 지키려는 듯 대립한다.

다코타 슈퍼마켓 습격사건을 계기로 두 집단의 대립은 절정에 이르고 아이들이 갑자기 사라지기 시작한다. 아이들의 실종으로 두려움에 빠진 화자를 비롯한 산크리스토발 주민들은 아이들을 찾아나서지만,,, 그들이 견고하게 쌓아놓은 그들만의 세상과 함께 싸늘한 주검이 되어 버린 아이들을 만나게된다. 아이들이 그들에게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무엇이었을까,,,

"벽에 박힌 병목과 안경 조각, 깨진 전구 등이 서로 빛을 반사 하는 바람에 마치 성대한 파티라도 열린 것처럼 초록색, 밤색, 파란색, 오렌지색 빛이 황홀하게 어우러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어떤 암호문을 보여주는 듯했다." (p.224)

음,,, 뭐랄까 많이 아니 거의 읽어 보지 않았던 스페인 문학이라 처음부터 읽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기는 했지만, 생각보다 많이 어렵다. 단순하다고 할 수 밖에 없는 배경과 등장인물을 가지고 있지만 책장이 좀처럼 넘어가지 않아, 다른 책과 바꿔가며 읽기를 여러차례 힘겹게 읽어낸다.

[ 네이버카페 책과콩나무 서평단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한 주관적인 후기입니다 ]

#빛의공화국#안드레스바르바#현대문학#책과콩나무#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