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내 마음을 충전합니다 - 이근아 그림 충전 에세이
이근아 지음 / 명진서가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에세이라는 타이틀만 보고 그림과 함께 그때 그때의 감정을 가볍게 풀어내는 글로 여겼었다. 그림이 주는 여유로 마음을 충전하는 자주 겪어 보던 그림 소개글 정도로 말이다. 감성적인 활동이라고는 책 읽기와 최근 보기 시작한 연극 관람이 전부인 나에게 그림은 뭉킁의 절규 정도로 유명하거나 광고 등에서 사용된 그림을 아는 정도의 사각지대다.

그래서 선택한 책이었다. 독자들이 편하게 그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에세이는 도와주는 정도의 글이겠거니 하는 마음으로 그림 좀 볼까 하는 가벼운 마음으로 말이다.

책을 펴자마자 같은 마음으로 읽어내려갔고, 다 읽고 난 후에는 힘들게 아이를 키웠던 기억이 되살아나 함께 목놓아 울고 싶은 심정이었다. 난 워킹맘이다. 운좋게도 주변의 도움과 직장의 배려로 경력단절없이 직장을 다니고 있다. 딱 거기까지다. 경력단절은 없었지만 아이가 어렸을 때는 쉼없이 사무실과 아이의 눈치를 봐야했고 아이가 아프거나 성적이 떨어지면 마냥 죄책감에 시달리곤 했다.

저자는 공부잘하는 아이들의 집단으로 상징되는 외고에 다니다가 돌연 외고하고는 백만광년쯤 떨어진 미술로 전공을 전향하는 갈등을 겪었었다고 한다. 외고에서 미술로 전향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민과 반대를 온몸으로 맞았을까 하는 생각에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 시작한다. 잘은 모르지만 박물관, 미술관 등 창의적인 기획을 동반한 일은 사무직과 달리 연공서열이라든지 나의 형편을 고려한 시간 배분이 어려운 일이라고 들었다. 치열하게 버티고 치열하게 나를 들어내야 하는 일에서 나만 바라보는 갓난 아이를 키우면서 소리없는 전쟁터와 같은 그곳에서 버티기가 얼마나 힘들었을까... 어쩔 수 없는 경력단절을 유도하는 시간이었으리라. 그나마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사무직에서 아이를 키우면서 버티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었음을 기억하는 내가 제일 공감이 되는 부분이었다.

"친정 아빠는 '목표를 세웠으면 다른 거 생각하지 말고 너만 생각해'라는 말씀을 주셨다. 뜻밖이었다. 아빠의 말씀에 용기를 냈다. (중략) '내게 다시 일할 기회를 준다는데 왜 못가. 나는 나를 인정해 주는 곳이 있다면 아프리카도 갈 수 있어' 있는 대로 허세를 부렸다. (중략) 친정엄마는 말한다. '엄마 마음이라는게 원래 그런거야. 독할 수가 없어.'" (p.41, 경력단절을 이어 붙이고 싶은 마음으로 아이를 두고 제주도 취업을 준비하고 포기까지)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기고 난 후 겪은 환경과 심리상태의 변화를 경계에 있는 사람으로 표현하면서, 그들이 겪었음직한 에피소드 18가지와 그에 어울리는 그림을 소개하고 있다. 나같은 그림 문외한이 많이 봐왔던 그림은 아니지만 에피소드와 그림에 대한 해석을 같이 읽으면서 그림의 느낌을 이해할 수 있는 책이었다. 나 역시 그림을 보면서 위로 받는 다는 생각이 들게하는 글이었다. 이토록 치열하게 살고 있는 내가 대견하다고, 잘하고 있으니 스스로를 믿어보라고 격려한다.

"현실에 순응하는 건 살아도 사는 게 아니라고, 시간에 몸을 맡기지 말고 행복을 추구하는 삶을 살자고 했다." (p.143)

남들이 행복해 하는 모습을 비뚤게 보는 모습에 투영됨을 느낀다. SNS가 제일 좋은 순간을 기억하고 싶은 순간을 남기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나와 다르게 살고 있는 그들의 모습에 부러움을 가득 담고서 질투로 표현하는 투덜거림이 생각한다. 나만 그런게 아니라는 묘한 안도감이 생긴다.

"'좋아, 행복해, 감사해!' 스스로 주문을 건다. 생각되로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정말? 진심? 만족한다고? 불만 없어? 나는 불만 많은데 너희는 그렇지 않아? 너희는 나와 다르 ㄴ세상에 사는 거야?' 라고 묻고 싶다. (p.153)

마지막으로 18가지의 에피소드에서 소개된 그림중 제일 맘에 들었던 그림 한가지를 담으면서 공감하는 마음 충만했던 '그림으로 내 마음을 충전합니다' 리뷰를 끝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