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에 은퇴하다 - 그만두기도 시작하기도 좋은 나이,
김선우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40세에 은퇴하다는 제목보다, 부제로 소개된 그만두기도 시작하기도 좋은 나이 40이 끌렸던 책이다.

내가 지금보다 조금 어렸을 때 생각하던 40세는 배나온 대머리 아저씨나 우악스러운 보글머리의 아줌마를 떠올리게 되는 나이였다.

그런데, 지금 내가 마흔살 중반을 넘고보니, 서른살일때나 마흔살일때나 달라지는게 아무것도 없는 아니 어쩌면 여전히 마음은 청춘 같은 나이가 마흔이다.

내가 느끼고 있는 마흔은 아직은 일을 해야할 날이 한참 더 많이 남아있고, 아이들이 자라서 돈먹는 하마가 되기 시작하는 나이면서, 서글프게 노안이 오고 체력이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하는 나이였다.

이렇게 겹겹이 부담이 쌓여있는 나이 마흔을 “그만두기도 시작하기도 좋은 나이”로 이야기할 수 있다는 건 얼마나 설레는 일일까 싶다.

저자는 마흔이 될 때까지 남들 하는 건 어떻게든 흉내라도 내고, 남들이 안하는 건 일말의 의문도 없이 절대로 하지 않는 삶을 살다가 남들이 뜯어말려도 난생처음 스스로 결정한 일이 마흔살의 은퇴라고 이야기한다.

은퇴후 내려놓기를 시작으로 매일매을을 남들과 다르게 즐겁게 살고 있음을 이야기하는 샴페인 터트리기까지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글은 은퇴하기에 이른 나이로 여겨지는 마흔살에 은퇴를 결심하게 된 이유부터 은퇴 후 조금은 부족하고 아쉽기도 하지만 나에게 가장 중요한 가족과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새로운 방법의 삶속에 동화되기 까지의 이야기를 솔직담백하게 적고 있다.

책을 읽는 동안 계속 느낀 감정은 ‘부럽다. 나도 조금 벌어서, 조금만 쓰고, 자고 싶을 때 자고 놀고 싶은데 놀고 싶은데’ 였다. 하지만 부러워만 하는 거다. 안타깝게도 아직 은퇴할 용기를 내지는 못했다.

제일 공감가는 에피소드가 알람과 스누즈 버튼이었다.

나 또한 매알 아침 5분 간격으로 맞춰진 스누즈 버튼을 마지막까지 누르고 나셔야 겨우 침대를 벗어나곤 한다. 주말 역시 밀린 잠을 자느라 시간을 제대로 쓰지 못하는 좀비같은 생활을 하고 있다.

“제시간에 일어나고도 싶고 잠도 더 자고 싶으니까. (중략) 하지만 이도 아니고 저도 아닌 삶이다. 나 같은 사람에게는 스누즈 버튼이 없는 알람이 필요했다. 그리고 스누즈 버튼 없는 알람이 나에겐 사표였다.” (p.35)

처음하는 시골생활과 씨를 뿌리고 자연의 섭리대로 자라는 조금은 못생기고 투박한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부의 삶에 적응해가고, 아이들의 도시락을 잘 만들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두 딸과 함께 보내는 아침시간을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는 삶을 선택할 수 있는 용기가 부러운 글이었다.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는 자연 농법의 철학은 모든 것이 과잉된 요즘 세상에 필요한 삶의 방식이다. 여유와 여백이 있는 삶, 멋지지 않은가.”(p.210)

없애면 죽을 것 같은 여러가지 집착했던 것과 중독됐던 것을 버리고 가볍고 자유로운 삶을 꿈꾸면서 책읽기를 끝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