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모포비아 스마트폰이 없는 공포 - 스마트폰은 어떻게 우리의 뇌를 망가뜨리는가
만프레드 슈피처 지음, 박종대 옮김 / 더난출판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탐서가님의 포스팅에서 발견한 책인 <노모포이바 스마트폰이 없는 공포>는 독일 뇌 과학계 일인자인 '만프레드 슈피처'의 신작이다. 요즘 들어서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못하고 놓는척만하는 나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 관심이 가서 읽어보게 되었다.

뇌과학자답게 스마트폰의 해악에 대해서 단순하게 나쁘다가 아닌 여러가지 실험과 연구를 통한 사례들을
보여주면서 하나하나 조목조목 따져가며 스마트폰의 해악에 대해 이야기해준다.

책을 읽다보면 스마트폰의 위험과 심각성에 대해서 사람들에게 진심을 담아 안타까운 마음으로
열변을 토하는게 느껴진다. 여러가지 연구자료와 사례들이 다소 무겁고 어렵게 느껴질수 있지만

저자는 친절하게 각 파트의 마지막에 정리요약으로 스마트폰의 해악에 대해서 말해준다.

이 책에서 스마트폰과 근시의 관계에 대해서 나오는데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은 만큼 어린 학생들의 90%이상이 근시를 앓고 있다는 사실은 정말 충격이었다. 아이들의 눈을 성인이 될때까지 성장하고, 그러기에 아이들의 눈은 어른들의 눈보다 스마트폰의 나쁜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절반이 근시일꺼라 추정한다.

우리는 어른으로써 우리 아이들을 스마트폰으로부터 오는 나쁜영향을 차단해주고, 아이들의 눈이 근시가 되지 않도록,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지켜줘야한다. 아이들은 아직 스스로 통제할 수 없기때문에 우리가 더 노력해야한다.

부모의 스마트폰 태도가 아이들이 스마트폰 대하는 태도로 고스란히 나타난다고 하는데, 퇴근하고 나서도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나의 태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봤다. 나 나름대로 스마트폰을 아이가 안보는곳에서 슬쩍 슬쩍 아이 몰래 하곤 했는데 아마 아이는 내가 지금 무엇에 정신이 팔려있는지를 다 알고 있었을 것이다. 이제는 정말 퇴근후에는 휴대폰은 충전기에 꽂아놓고 전화가 오는게 아닌이상은 쳐다보지 않아야 겠다.

그리고 집안에서 스마트폰 화면을 같이 쳐다보는 대신에 의식적으로라도 아이 손을 잡고 밖으로 나가서 나무를 보고 꽃을 보는등 자연을 더 느껴야겠다.

우울증, 근시, 과체중등 여러가지 육체적, 정신적 질병을 야기하는 스마트폰의 위험성을 우리는 더이상은 모른척 하면서 합리화해서는 안된다.

<노모포비아 스마트폰이 없는 공포>를 한마디로 정리해보면 스마트폰에서 벗어나 가족들에게 더 집중하고 싶은 사람, 스마트폰을 조금더 지혜롭게 사용하고 싶은 사람에게 강한 동기 부여를 해줄 책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우리 모두가 한번쯤은 읽어봐야된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