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홀로서기 철학 - 삶의 순간에서 당신을 지탱해 줄 열세 가지 철학
양현길 지음 / 진성북스 / 2024년 6월
평점 :

과거에 비해 빠르게 소통할 수 있는 시대에 왜 사람들은 외로움을 느끼는 것일까? 사람들에게 의존하고 만남과 교류를 통해서만 위로와 위안을 얻게 되면 외로움이 더 커져간다.
이 책은 열세 명의 철학자의 삶과 사상을 따라 사유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고 세상과 소통하면서 홀로서기하는 인생을 살아나가는 힘을 얻게 한다.
몽테뉴는 진정으로 나 자신이 되기 위해서는 '온전한 나만의 공간과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독한 자신만의 공간으로 들어 갔고, 삶과 죽음을 면밀하게 관찰하며 수상록을 통해 통찰과 생각을 담았다.
쇼펜하우어는 인간의 속성을 '결핍과 권태 사이에서 왕복하는 시계추와 같다'고 표현했다. 외로웠던 그의 삶에서 고독을 뚫고 참된 자아를 찾게 된 것이다.
온전한 나로서의 시간을 살아나가기 위해서 자기 신뢰를 통해 망가진 내면의 위대함을 회복해야 한다고 에머슨은 말했다.
저자는 카뮈의 이방인을 통해 우리가 살아나가야 할 이유를 이야기한다. '회피', '순응' 그리고 '반항' 세 가지 행동 중에 고통과 부조리에 맞서는 반항하는 태도가 우리 삶을 완성한다고 말한다.

최악의 환경에서 삶에 의미를 완성시킨 빅터 프랭클의 강제 수용소에서 이야기는 우리의 영혼을 죽이게 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게 한다. 창조가치, 체험가치, 태도가치가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인생을 구원하게 하는 힘을 가지게 한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진정한 자유를 위한 여정은 나를 발견하기 위한 고독과 함께였다.
그대의 눈을 안쪽으로 향해보라. 그러면 그대의 마음속에서 아직 발견되지 않은 천 개의 지역을 발견하게 되리라. 그곳을 여행하여 마음속 우주학의 전문가가 되어라. - 소로
쓸모에 집착하지 않고 본연의 삶을 살게 하는 장자의 철학은 가벼운 마음으로 현재에 머무르며 살아나가게 한다. 노자 역시 <도덕경>을 통해 집착을 내려놓고 물 흐르듯 유연한 삶을 살아나가라고 한다.
물에 몸을 가볍게 맡겨야 잘 뜬다. 삶의 오늘 지금의 순간에 나를 맡기고 고통 역시 흘려보내야 함을 참된 무위란 무엇인지 알게 된다.
인생의 고통은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달려있다.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기란 쉽지는 않다. 우리의 생각하는 방식과 태도가 고통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나에게 일어난 일을 타인의 관점에서 보면 객관적인 내가 되고,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내부에서 찾을 때 행복해질 수 있다.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어떻게 살고 싶은가? 나의 삶은 나의 선택에 달려있다. 샤르트르는 실존하는 나의 행동과 선택이 나 자신을 만든다고 한다.
홀로서기 위한 삶을 위한 철학들은 내 삶의 주체는 나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타인의 기대와 인정을 갈구하는 삶이 아닌 나의 삶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타인들이 만든 전기의자에 앉기를 거부해야 한다.
나의 내부에서 나의 존재를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주체적으로 서는 것이 중요하다. 니체의 말처럼 타인에게 지나치게 기대하지 않고, 스스로 한계를 두지 않으며 나만의 숨은 보석을 발견해 나가야 한다.
나의 인생을 가볍고 자유롭게 살아야 한다.
'디오니소스적 긍정'으로 나의 삶을 사랑하고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내 인생을 독립적으로 살아가야 한다.
혼자서도 행복하고 함께 있어도 걸림 없는 삶이 자유로운 삶임을 알게 된다. 대나무처럼 단단하고 곧게서서 스스로 만들어가는 삶의 주인이 되게 하는 철학 책이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동서양 철학자들의 홀로서는 삶을 배우고 싶은 분
▶ 외로움과 소외감으로부터 치유받고 싶은 분
▶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고 싶은 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