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대예보: 호명사회
송길영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4년 9월
평점 :

첫 번째 예보인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에서는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고자 하는 이들의 핵개인의 탄생을 예보했었다.
이번 두 번째 예보에서는 핵개인의 탄생과 그 이후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에게 다가올 미래를 더 큰 호흡으로 준비해야 한다.
우리의 욕망이 커져 시뮬레이션 과잉이 도래했다. 과도한 탐색의 사고실험은 도리어 독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 내 취미와 행복에 투자하는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빠른 포기를 하는 것은 게으르기 때문이 아니라 달관했기 때문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공유하게 되면서 회피하거나 경쟁에 내몰리고 최적값을 찾는다.
저자는 경쟁에 대한 압력과 불안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조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나라의 선발 시스템은 개인의 지속적인 발전이 독려되기 어렵다.
누구나 자기 콘텐츠를 직접 만들 수 있는 시대이다. 월급루팡은 편안하게 비참해질 수 있는 방법이다. 스스로 앞으로 무엇을 할지 모르기 때문에 선택지를 늘리는 것이 아닌 축적의 시간으로 경험과 지식을 쌓아야 한다.

N잡러 시대에 본진은 정체성이 자리매김하는 고유의 영역을 말한다.
각자의 조예와 취향을 쌓고 자기의 업을 만드는 사람은 자신만의 삶을 살아간다.
자신의 고유한 재능을 발견하고 자기 이름을 찾아야 한다.
이 책은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눈뜨게 한다. 그 흐름 속에서 찾아야 하는 것은 나 자신이다. AI가 시간을 줄이는 일을 하다면 인간은 시간을 채우는 일을 해야 한다.
고유성을 지닌 자신만의 무대 위에서 지속 가능한 과업을 찾고 숙련을 바탕으로 시간의 부가가치를 끌어올리는 과정의 시자고가 끝을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자립의 기반을 쌓아 천천히 뿌리는 나무처럼 에너지와 자원에 집중하여 갈고 딱 아나 가야 미래를 열어나갈 수 있다.
자립의 도구와 자질을 기르는 힘을 찾는 것을 말하며 기존 질서와 관행에 대한 파괴의 출발은 질문이라는 점을 인식하게 한다.
AI 때문에 노동의 종말이 올 것이라 예상하지만 오히려 노동이 강화된 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핵개인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했듯 자신을 둘러싼 네트워크 역시 주체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생각의 정수는 책에서 찾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연좌를 넘어 건강하고 대등한 모둠인 연대의 관계와 시스템을 창출해야 한다.
적당한 온도를 찾는 골드락스 지대를 찾아 관계를 맺고 신뢰를 쌓아야 수확할 수 있다.
자기 이름을 찾아 바로 서고 바로 선 핵개인들이 연대하는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호명사회가 도래한다.
핵개인의 자기완결성은 자립의 도구를 기반으로 형성된다.
조직이 이끌었던 사회는 개인의 이름이 더욱 드러나는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자신의 색깔을 찾고 그 색깔들이 모여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빛깔처럼 각자의 고유성이 모여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호명사회는 협력하는 연대로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게 될 것이다.
자신의 서사를 만들어갈 고유한 무대에서 나의 이름으로 살아갈 출발선을 발견할 것이 중요하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호명사회의 일원이 되어 자신이 좋아하는 것들의 아카이브를 쌓을 수 있어야만 그들만의 호명사회가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시대예보 후속편이 궁금하신 분
▶ 삶을 대비하는 호명사회 중요성을 알고 싶은 분
▶ 나의 이름으로 삶을 실아가고 싶은 분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