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김진명 작가의 작품은 이번 <1026> 을 통하여 처음 접한다. 1979년 10월 26일 일어난 박정희 대통령의 시해사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래서 자칫 지루하고 딱딱할 것이라 생각하기 쉬운데 나는 그렇지 않았다. 읽어 내려가면서 진실을 찾아가는 열차를 탄 것 같았다. 이야기는 변호사인 경훈과 예술가인 수연을 소개하며 시작된다. 경훈과 수연은 서로 대학선후배이며 미국 보스톤에 있다. 어느 날 수연이 자신의 전화를 대신 받아달라고 부탁하여 경훈은 어떤 노인과 통화하게 되는데 목소리가 어디가 아픈 듯한, 거의 죽기 직전인 상태로 전화를 걸어 수연을 찾았다. 다급해진 경훈은 자신이 수연이라 말하고 얘기를 듣는데 그 노인은 ’박대통령’, ’1026’, ’하우스’ 등의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얘기들을 하고 전화기를 놓아 버린다. 결국 그 노인은 숨을 거둔 것이고 별 친분이 없던 수연에게 자신의 유산을 넘긴다. 제럴드 현이라 하는 이 노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경훈은 조사를 하게 되는데 이 노인은 보통 사람이 아닌, 미국 국방성에서 근무한 사람이었다. 흔히 말하는 첩보원. 경훈과 수연이 추측한 바로 평범한 사람들은 보지 못 할 사실들을 보는 자리에 있던 제럴드 현은 엄청난 비밀을 알고 있었는데 그 사실을 아무에게도 털어 놓지 못해 답답했다. 그런데 아무런 상관없는 수연에게 털어놓음으로써 자신의 속을 후련히 하고 싶은 마음이었다는 것이다. 경훈과 수연은 이런 식으로 한참을 거슬러 올라가 1979년 10월 26일에 있었던 의혹들을 제기하며 미스터리들을 풀어내고자 한다. 그때 과연 어떤 일들이 있었고 왜 그래야만 했던 것일까. 참으로 궁금하고 묻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