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역습 - 오만한 지식 사용이 초래하는 재앙에 대한 경고
웬델 베리 지음, 안진이 옮김 / 청림출판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일단 근본을 보기 전에 지금 우리가 바라보고 나아가는 길은 과연 올바른 길인가 하는 일차적인 의문을 가져본다.  사실 이에 대한 고민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매너리즘과 수동성에 대한 회피의식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인식을 조금 벗어나 제 3자적인 시선과 약간의 근본적 지식이 있다면 답은 금방 나올 수 밖에 없다.  이 사회와 세상이 추구하고 몰아가는 모습은 상당히 파괴적이고 비인간적이어서 지구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 인류는 자멸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이제 그다지 깊은 고민이나 폭넓은 인식이 필요한 깨달음은 아니다.  조금만 관심을 가진다면, 내가 사는 곳 어느구석에서부터 또는 지구 어딘가의 모습속에서 우리는 자멸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 사회를 지탱하고 유지시키는 동력인 인간의 지식은 과연 옳은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끊임없이 파괴하고 순환시켜 만들어내는 문물과 새롭고 신기해보이는 수많은 지식들에 의해 인류는 자멸의 길을 걷고있다면 그것은 무익한 지식이 되지 않을까.  사상가인 저자는 그렇게 말한다.  인류가 지식을 쌓아갈수록 무지함도 함께 쌓인다고 말이다.  우리가 분석하고 전문화시켜 알아만 가는 지식들, 그리고 무언가를 창출하고 이윤을 만들어내려는 사회집단들의 모습은 결국 지식의 독점을 통한 무지의 일반화만 확산시키고, 반드시 추구해야만 하는 개개인과 사회의 인간성은 이윤앞에서 깡그리 무시되는 상황은 서로가 공존해 나갈 수 있는 보편과 일반화된 교류 및 성찰적 상황에서 보면 매우 이기적이며 위험한 모습으로 비추어질 것이다.




  나 역시 의사라는 전문가 집단에 속해있으면서 서양의학이 지니는 이기성과 비인간성에 고민하게 될 때가 종종 있다.  그리고 다른 의학을 배척하면서 첨예한 지식을 독점하게 되며 하나의 지식계급으로 군림하는 모습이 종종 불편할 때가 있다.  의학이 삶속에서 보편화된 모습으로 함께 공존하지 못한 채, 3자적 입장에서 아픈 이들로 하여금 의존을 강요하고 차가운 검사기계와 화학물질의 영향하에 두는 모습이 그다지 인간적이지 못해보이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좀 더 확장하자면 이반 일리히가 말한 지식독점을 통한 계급화를 연관지을 수 있다.  결국 병원이 병을 만들고 학교가 무식을 만들어내며 기술이 무능을 만들어내는 딜레마,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더욱 깊어지는 딜레마를 우리는 분업과 분석을 통한 발전된 사회라 부르는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러한 지금의 모습, 대체 언제 어디서 얼마나 많은 무엇을 잃어버렸는지 조차 알 수 없어 되돌아가 볼 용기도 내지 못하는 이 형국은 깨달아도 걸어나갈 수 밖에 없는 자멸의 길의 본질이 아닐까.




  저자도 결국 근원적 해답을 땅에서 찾고 있다.  실제로 그는 농사를 짓는다.  땅으로부터 필요한 것을 얻어내고 최대한 천천히 성찰하며 얻어내는 것들을 통해 우리가 되돌아가야 할 모습을 찾으려 노력한다.  독특한 것은 그는 망가진 자연에 대한 무조건적인 보호와 보존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자연스러운 교란을 통해 서로 영향을 받는 자연적 혼란을 자연 자체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방법이라고 이야기한다.  아무튼, 개인적으로는 근본적이며 성찰적인 답을 땅에서 찾는 이를 또다시 만나게 되었다.  확신에 가까운 답을 얻어낸 기분이랄까..  성찰과 사고의 사소한 차이만 존재할 뿐, 인간과 사회의 삶의 근본을 땅과 성찰, 또는 인문학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에는 내가 바라본 모든 이들에게 공통되는 모습이었다.  생각해보면 지금의 사회에 있어 땅과 인문학은 자연스레 배척되어버린 것들이 아닌가. 




  이 책에 대한 한가지 불만은 해석에 따른 단어의미의 혼동이다. ignorance라는 단어를 '무지'로 해석해 사용했는데, 내용을 읽다보면 단순한 무지의 뜻은 아닐 것 같다는 느낌이 많이 든다.  순전히 모른다는 뜻과는 다른, 지금의 사회가 풀어가는 지식과는 거리가 있다는 뜻의 '상대적 모름' 또는 '상대적 무시'의 의미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또는 지금 인류가 선천 또는 후천적으로 가질 수 밖에 없는 무식 또는 모를 수 밖에 없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미묘한 차이인데 문맥상에 있어 어떤 어색함이 느껴졌다.  하지만 이 책을 관통하는 근본에의 성찰이 혼동되지는 않는다.  또하나의 성찰의 기회를 얻을 수 있어 반가운 책읽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