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프로스트 1 : 텅 빈 남자 - 시즌 1 닥터 프로스트 1
이종범 지음 / 애니북스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평소에 심리학과와 심리상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보셨나요? 


 수많은 심리테스트를 이제껏 봐왔지만 전문심리상담은 생각조차 안 해본 사람이 많은 현실이다. 

<닥터 프로스트>는 사회 전반에 만연한 편견을 한겹 깨부수는 데서 시작한다. 

1권에서는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다루고 있는데 이야기의 재미를 위해서인지 상황자체는 평범하나 내담자의 문제를 상당히 극단적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부분은 독자로 하여금 '와 저건 심했다'라든지 '저러니까 상담을 받는구나'와 같은 생각을 하게만들어 본인과 차별화를 시킨다. 

'난 저정도는 아니니까 괜찮겠지'라는 생각은 자신의 상태를 외면하는 길이라 생각된다.

이렇게 무관심한 이들에게 소위하는 심리테스트처럼 자가진단을 추천하기도 하는데 

너무도 자신에게 몰두하는 나같은 경우는 자가진단을 하고나서 되려 겁에 질리고 만다.

'역시 나는 이상해'

이런 생각을 하며 더욱 틀어박힐지도...


 프로스트 교수는 치료자, 치유자가 아니다. 내담자 오정혁의 상처를 치유해준 사람은 다른 이였다. 

그는 인도자일 뿐이다. 프로스트 교수가 굳이 내담자에게 공감하지 못해도 괜찮다고 생각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자기 자신을 100%파악하고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을까? 그 100%를 누군가에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심리 상담을 하며 자신의 모든 치부까지 밝힐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오히려 상담가는 할 일이 줄어들겠지.

내담자 본인도 알지 못하는 부분을 끌어내고, 본인이 말하지 않는 부분을 여러가지 검사로 유형화하는 작업을 통해 상담가는 내담자를 좀 더 쉽게 파악할테다.

 <닥터 프로스트>에서는 스누핑을 통해 결정적인 부분을 들춰냈지만 이건 만화니까.

 만화니까. 뒤집었을 때 뒤집히는 거지.


 <닥터 프로스트>는 이 만화를 보는 독자들 중 비슷한 사례를 가진 이들에게 직접적인 위안이나 치료를 주고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 만화는 나름의 방식으로, 불특정 다수의 특징을 가진 독자들에게 문의 방향을 알려주는 것이다.

자신의 문제에 대해 고민해보고 상담을 받느냐 받지 않느냐는 문을 여는 것은 각자의 몫이다.



다만 문제 자체를 비난하는 사람이 조금이나마 적어졌으면 하는게 내 바람이다.

문제를 고치라고 종용하는 이도...


'이대로도 나쁘지 않다.'라고 그렇게 위안을 받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사람 역시 많으리라 짐작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