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무형 문화재 - 세계가 반한 지식의 힘 2
이경덕 지음, 오동 그림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형태가 남아 있는 유형 문화재는 주위에서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형태가 없는

무형 문화재들은 어디에서 볼 수 있고, 우리나라 무형 문화재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아이들이 직접 눈으로 본 것은 탈춤과 북청사자놀음이였지만, 더 많은것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 주고 싶었습니다. 각각의 주제에 따라 꾸며진 무형 문화재 놀이동산이 있어서

아이들도 함께 노래하고 춤추고 구경하다보면 무형 문화재의 흥겨움에 빠져들지 않을까요?

무형 문화재 놀이동산에서 아이들도 함께 무형문화재를 만나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탈놀이,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농악과 민요, 강강술래, 남사당과 줄다리기,

옹기, 대목장.소목장, 궁중 음식과 발탈, 가곡과 가사, 한민족의 고유 무술 택견,

처용무와 춤, 우리 모두를 위한 굿을 볼 수 있습니다. 무형 문화재의 모습을 보고,

무형 문화재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세계 문화 유산이 있고, 세계 무형 유산이 있습니다.

판소리, 강릉 단오제를 비롯한 많은것들이 무형 문화재로 인정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를 빛내는 주요 무형 문화재가 몇개나 있는지 아시나요?

세계가 인정해 주는 무형 문화재는 훌륭하고 멋진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하지만, 세계가 인정하지 않았더라도 우리가 아끼고 보존해야 할 문화재들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형태가 없는 무형 문화재들은

직접 체험해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몇년전 아이들과 북청사자놀음에 참여하게 되었고,

아이들이 직접 사자의 탈을 써보기도 했습니다.

 

 

아이들이 직접 체험 해 보면 좋겠지만, 체험을 할 수 없다면  '세계가 반한 우리 무형 문화재'를 통해서

 아이들이 우리나라의 무형 문화재를 알아봄으로써 조상이 남긴 보물을 확인해 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실제로 무형 문화재 놀이동산이 있어서 아이들이 더 가까이에서 무형 문화재를 볼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