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 조선의 하늘을 보다 - 조선 시대 천문학 통합적 지식을 키워 주는 역사동화
황은주 지음, 최지은 그림 / 그린북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캄캄한 저녁 하늘을 바라본 적이 있습니까? 도심속 하늘에는 별이 많지 않지만 시골에서 바라보는 하늘에는 많은 별들을 만나기도 합니다.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로 하늘을 보며서 많은 생각을 하고, 연구를 하고, 새로운 사실도 발견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조선 시대 세종 임금이 믿고 의지 했던 장영실이 천문 연구를 반대하던 세력들에 의해서 궁에서 쫓겨나게 되었습니다. 장영실이 궁에서 쫓겨난 후의 이야기는 알 수 없지만, 상상으로 그려놓은 이야기, 장영실이 계속 궁에서 활약을 했었더라면 우리나라의 천문학이 많은 발전을 했겠지요. 조선 시대에 살았던 어린 아이 경이와 함께 조선 시대 하늘의 이야기를 함께 하기로 합니다.

 

 

경이는 우연히 옆집에 살고 있는 장영실과 인연이 되고, 장영실을 돌보면서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위험에 처한 장영실은 그곳에 계속 머무를 수 없었습니다. 장영실이 몸을 숨기고, 경이와 함께하면서 장영실이 발명한 많은 것들의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여기서 실제로 장영실이라고 칭하지는 않았지만, 이야기를 읽다보면 경이와 함께한 아저씨가 장영실이 궁에서 쫓겨난 후 겪었을 것이라고 상상하게 됩니다. 

 

 

세종 대왕이 특히 과학을 발전 시킨것은 농업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 과학을 연구했고, 세계 최초의 강수량 측정기인 측우기, 혼천의, 활자 인쇄, 화기 등 의약 분야의 기술도 크게 발달하였습니다. 역사 속 궁금한 과학이야기 속에 담겨져 있는 이야기는 조선시대의 천문학과 관련된 많은 기구들의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게 될것입니다. 세종대왕이 묻혀있는 여주영릉에 가면 볼 수 있는 기구들도 있고, 박물관에서도 볼 수 있는 많은 유물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책으로 만나보고, 그것을 박물관에서 확인하게 된다면 아이들의 기억에 오래도록 남게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