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정선은 진경 산수화를 그렸을까? - 심사정 VS 정선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37
최석조 지음, 최상훈 그림 / 자음과모음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의 그림을 모방하는 데에서 벗어난 새롭고 독창적인 그림으로 풍속화와 더불어

가장 한국적인 그림이라는 진경 산수화가 무슨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왜 정선은 진경 산수화를 그렸을까?'라는 제목의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역사 속 인물들이 여러가지 사건으로 한국사법정에 나오는 것은

 많이 보았지만, 그림에 대한 법정다툼은 더 많은 궁금증을 만들게 하는것 같습니다.

남종 문인화를 주도한 심사정은 정선의 제자 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심사정은

스승인 정선을 고소하기에 이르렀는지 한국사법정으로 들어가봅니다.

 

 

 

매우 겸손한 선비라는 뜻의 겸재라는 호를 가진 정선은 참된 경치라는 뜻의 진경 산수화는

실제 있는 그대로를 보고 그렸다는 뜻이기도 하고, 중국 땅이 아닌 조선 땅을 그려싸는

 뜻이기도 합니다. 상상으로 그렸던 그림과는 다르게 자신이 산과 강을 직접 가서 보고

그렸습니다. 고려 시대에도 이미 실제 풍경을 보고 그리는 실경 산수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여기에도 함정은 있는것 같습니다. 진경 산수화에는 화가의 개성과 독창성이

들어가 있지만 실경 산수화에는 화가의 개성이나 독창성이 없다고 하는군요.

아이들이 책을 읽으면서 조금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인것 같네요. 진경 산수화를 처음 그린

인물이 따로 있기는 하지만 기록만 있을 뿐 그림이 없기 때문에 분명하지 않다고 합니다.

 

 

화려한 날은 가고 진경 산수화도 쇠퇴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책을 읽다보니 누가 잘하고,

못하고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에 참 어려운 부분인것 같습니다. 진경 산수화를 그렸던

정선도 대단한 사람이고, 심사정 또한 실력을 가진 화가임에는 틀림없는것 같다는

판결문을 보니, 그림을 가지고 법정싸움을 했던것은 그 시대의 그림들을 다시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주는것 같습니다. 역사 속 여러가지 사건을 흥미로운 이야기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의 또 다른 재미를 느기게 해 주는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