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한국사 4 - 조선 전기 키워드 한국사 4
신병주 지음, 김종도.김진화 그림 / 사계절 / 201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이 궁금해 할 만한 흥미로운 주제로 사건을 풀어 가듯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위에 대한 배경과 맥락을 명쾌하고 흥미진진하게 새나라 조선을

세운 이야기부터 임진왜란을 극복해 간 이야기까지의 역사가 전개되는

외우지 않아도 저절로 한 시대의 역사상을 그릴 수 있는 핵심 키워드로

풀어 가는 우리 역사 '키워드 한국사'에서 조선전기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키워드 01 조선 건국 새로운 나라를 열다를 시작으로 키워드 28

조선 통신사 전쟁 포로를 데려오기 위해 나서다까지 조선의

역사를 쉽게 접하게 되고, 키워드 + 에서는 성리학, 조선왕조실록,

향촌 사회, 거북선과 판옥선을 알게 됩니다.

 

고려가 혼란을 겪고 있을때 성리학을 연구한 신진 사대부들은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그 중심에는 이성계가

있었지요. 조선의 도읍지인 한양에 많은 궁궐들을 지었고, 그 궁궐들은

지금도 우리가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역사의 단서들을 엮어 나가다 보면 역사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파악하게

되고, 우리 역사에 호기심을 갖게 되거나 또 다른 궁금증이 생겨나서

역사를 더 알고 싶은 마음이 생길지도 모릅니다. 역사를 어렵게만

생각했었는데, 키워드를 바탕으로 역사 개념과 인물, 사건,

생활, 문화등 다양한 분야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어서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역사 연표까지 있어서 책을 읽은 이야기들을 연표를 읽어보면서 

'1392년 이성계가 고려의 공양왕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라 새 왕조를

세웠다.'를 시작으로 조선 시대 전기의 시작을 알립니다.

'1607년 일본 정부의 요청으로 조선 통신사를 파견해 일본과 다시 국교를

시작하였다.'를 끝으로 조선 전기는 끝이 나고 후기로 넘어가게 됩니다.

아이들이 직접 보고, 들었던 내용들과 이미지를 키워드 한국사에서

접하게 되니 역사를 쉽게 이해하는것 같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