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여름 가을 겨울 - 김종만 사계절 동화, 문화나눔 2011 우수문학도서 살아 있는 글읽기 1
김종만 지음, 이병원 그림 / 고인돌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옛날 어렸을적 아이들과 뒷동산에 가서 놀았던 기억.
동네 냇가에서 물놀이도 했고, 
가을걷이를 하는곳에서 심부름도 하고,
얼음 위에서 얼음썰매도 탔던 기억을 되새기게 하네요...
지금은 체험학습으로 아이들이 접하지만.
시골에서 자란 저로써는 그 기억이 아련한 추억으로 남아있네요.
아이들에게도 행복한 기억을 주고 싶어서 책을 봅니다.



성골마을에서 살고 있는 아이들. 대보름이 지나고, 겨울방학이 지나
여전히 아이들은 얼음썰매를 즐깁니다.
날씨가 풀리면서 얼음은 점점녹아가고...
썰매를 타던 아이들. 얼음이 점점 깨지고. 옷도 젖어버렸고.
아이들은 옷을 말리기 위해서 불을 피웁니다. 그때 한 아이가 "우리 쥐불놀이 할까?"
아이들은 논두렁에 불을 옮기고 다닙니다.  들쥐도 쫓고, 
농사에 해를 끼치는 벌레 알을 잡는다고 해서 ’쥐불놀이’라고 한다고 하네요.
이렇게 불을 옮기다가 걷잡을수 없이 불이 번져버리네요.
아이들은 숨고, 어른들은 불을 끄느라 야단입니다.
이렇게 겨울을 보내고.  봄을 맞이합니다.

봄에는 새순들이 겨울에 얼었던 땅을 뚫고 나오죠.
그리고 그 나물들을 뜯고, 아이들은 진달래 꽃도 따 먹는 그게 봄이였네요.
여름 저수지에 물은 논으로 넣었고, 모내기가 끝난 논.
그리고, 물이 빠진 저수지 둑에서는 마을사람들이 고기를 잡고,
아이들도 바지를 걷고 저수지에 들어가서 고기를 잡는 어른들 옆에서
아이들은 물장구를 치면서 시원한 여름을 보냅니다.
가을 벼 타작하는날. 타작마당 곁에 소달구지로 실어오거나 지게로 져 나른
마른 볏단으로 낟가리를 틀었고, 탈곡기를 밟아가며 볏단에 붙어있던 
벼 낱알들이 흩어집니다. 탈곡이 끝난 볏단은 옆으로 쌓아놓지만 아이들에게는
그곳이 놀이터가 되어버리지요...^^ 그림을 보니 참 재미있어요.
눈이오는 겨울에는 날씨는 추워지고, 저수지 물이 얼어붙어 얼음썰매장이 됩니다.
아이들은 따뜻하게 입고, 아버지가 만들어준 얼음썰매를 들고 신나합니다.
 

어른들이 보낸 어린 시절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재미있는 책이네요.
지금아이들은 이런추억은 가질수가 없겠지만.
아니 시골에서 살고 있는 아이들은 비슷한 추억을 간직할수 있겠지요.
도시에서 살고 있는 아이들은 이런 추억을 가질수가 없어서 아쉽지만.
’봄 여름 가을 겨울’ 책을 보면서 아이들과 재미있는 상상을 해 봅니다.
동화속에서 따뜻하고, 행복한 추억을 선물해 준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