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어록청상 푸르메 어록
정민 지음 / 푸르메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오늘도 다산 선생님의 책을 쥐고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새벽 5시에 일어나 분주히 출근 준비를 마치고 반드시 챙기는 책이 「다산어록청상」이다. 다소 졸리는 시간 전철 안에서 먼저 그 분의 말씀 한마디를 읽는다. 오늘은 수신 편 ‘말조심’의 문구가 눈에 확 잡힌다. “백 마디가 다 믿음직해도 한 마디 거짓말을 하면 귀신의 무리가 된다.”는 말에 온 정신이 맑아진다. 활시위를 떠난 화살이 과녁의 정 중앙에 맞아 부르르 떨듯 심중의 한 가운데를 내리치는 문구에 잠시 몸에 전율이 느껴질 정도이다.

눈을 지긋 감는다. 지금까지 내 입에서 튀어나간 말들을 되짚어본다. 무심코 내 뱉은 말이 아내와 아들에게 상처를 주지는 않았을까? 성급하게 툭 내 던진 말들이 상대에게 반감을 사지는 않았을까? 모르는 것을 아는 체 교묘히 사탕발림으로 얼버무리진 않았을까? 거짓으로 꾸며낸 말로 사적인 이익을 챙기지나 않았을까? 이런 저런 잡념에 마음이 혼란스럽다. 내 말 속에 나의 얼굴과 마음이 담겨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망각하며 살아온 나를 반성해본다. 이렇게 이미 지나간 일들을 꼬치꼬치 따져보는 것은 오늘의 나를 다잡기 위한 성찰의 과정이다. 이런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주는 한 마디 한 마디가 이 책 10편의 글속에 담겨있다.

 총 10편으로 구성된 글을 다 읽고 나니 나의 잘못된 삶이 백일하에 드러나 마치 마음을 들여다보는 맑은 거울 앞에 발가벗겨진 채로 서 있는 느낌이 든다. 변치 않을 마음의 주인이 되질 못하고 믿지 못할 물질적 부(富)를 쫓고 있는 나. 내 스스로 나를 업신여기고 가볍게 여겼던 나. 내 몸과 마음을 닦는 공부를 게을리 했던 나. 사소한 이익에 자꾸 마음이 흔들리는 나. 작은 업적을 자랑삼아 크게 부풀려 말해왔던 나. 책 읽기를 소홀히 하고 정신을 산란케 하는 잡록들에 빠져 지낸 나. 쓰레기 같은 잡설을 풀어내어 글이랍시고 긁적였던 나. 시간이 부족하다 불평하면서도 텔레비전 드라마에 도취되었던 나. 이루 형용할 수 없을 만큼 내 일거수일투족이 까발리어 그분의 말씀에 빗대어진다. 그리하여 한없는 부끄러움에 몸 둘 바를 몰라 책을 덮어두고 한참 동안 멍하니 허공을 쳐다보며 앉아있었을 정도이다.

 선생님의 말씀이 나의 심금에 큰 울림으로 다가온 이유는 이렇다. 첫째로 그 분의 삶 자체가 글에 고스란히 옮겨져 있다는 점이다. 번듯한 말로 독자를 현혹하는 요새 인생론의 경박함이나, 재산 증식을 마치 인생의 본질인양 나불대는 최근 경제적 처세론의 오만함이 아니라 당신의 삶 속에서 경험으로 축적된 삶의 진리를 간결한 필치나 담박한 문구로 물 흐르듯 풀어내고 있다. 선생님은 책을 읽을 때, 바탕을 먼저 세우고 책을 신중히 고르며, 보탬이 될 만한 것을 꼼꼼히 채록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던 분이다. 선생님은 글을 쓸 때, ‘깨달을 바를 유추하여 이를 축적하고, 축적된 것을 글로 지었던’ 분이다. 선생님은 먹고 입는데, 호사를 부리지 않고 검소했으며, 스스로의 노동으로 생활을 꾸려가고자 노력했던 분이다. 그래서 선생님의 말씀 한 마디가 내 심장의 정곡을 찌르며 절대 허투루 넘길 수 없었던 것이다.

 둘째로 선생님의 말씀에는 자식을 어루만지고 북돋우는 절실하고도 따뜻한 부정(父情)이 담겨 있다. 늘 유배지를 전전하여 자식의 성장을 곁에서 지켜보지 못한 아버지의 안타까운 심정이 아들에게 부치는 편지 속에 오롯이 표현되어 있다. 선생님은 애틋한 감정의 노출보다는 자식의 올바른 성장에 더 신경을 쏟고 있다. 자신의 잘못과 허물을 삼가 경계하고, 몸가짐을 조심하며, 학문에 정진할 것을 주문한다. 짤막한 글귀에 수신의 중요성과 방법이 세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정숙한 몸가짐을 갖추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효제를 학문의 바탕으로 삼을 것과 독서의 구체적인 계획 및 방법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열거한다. 또한 사대부의 가법과  재산 증식에 대해서도 실학자다운 뚜렷한 주관과 확신을 보여주고 있다. 이 글 속에서 독자는 아버지의 엄격함보다는 자식에 대한 열정과 사랑의 깊이를 느낄 수 있다. 이것은 비단 자식에게 던지는 아버지의 말씀이기 보다 이 세상 모든 이들에게 던지는 삶의 메시지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 한 자녀의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무조건적인 물질적 풍요와 과도한 애정의 표현으로 나약한 온실의 화초처럼 자식을 키우는 이 시대 부모들에게 다산 선생님의 올곧은 자식 사랑의 표현은 좋은 귀감이 되리라 믿는다.

셋째는 선생님의 말씀에 시대를 뛰어넘는 날카로운 통찰과 시각이 담겨 있다는 점이다. 선생님은 고루한 성리학적 사회가 지닌 사농공상의 신분적 폐해를 예리하게 지적한다. 옛것에 안주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편벽함을 경계하고, 몇 대가 지나도 벼슬 한번 제대로 하지 못한 사대부가 추위와 굶주림에 쪼들려 살아가는 비루함을 증오한다. 특히 지금껏 중국(中國)을 사대하여 중국에 노니는 것을 자랑삼아 뽐내는 비뚤어진 사대부의 세계관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대목이 자못 통쾌하다. ‘왜 중국이 세상의 가운데 인지 그 까닭을 모르겠다. 이른바 동국이란 것도 왜 동쪽이 되는지 알 수가 없다. (중략) 대저 이미 동서남북의 가운데를 얻었거든 어디를 가든 중국이 아님이 없거늘, 어찌 이른바 동국으로 본단 말인가?’ 라는 선생님의 말씀은 답답한 시대의 두터운 편견을 단박에 부수는 통쾌한 주장이 아닌가?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책은 한번 읽고 책꽂이 한 귀퉁이에 꽂아둘 책이 아니다. 늘 손에 쥐고 놓지 않아야 할 책이다. 한 구절 읽어보고, 곱씹고 곱씹어 의미를 파악하고, 내 삶을 성찰하는 계기로 삼아야할 책이다. 굳이 통째로 끝까지 읽지 않더라도 필요에 따라 한 구절 한 구절 찾아 되새김하는 맛이 오히려 상큼하고도 짜릿한 묘미를 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