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많은 5•18 이야기를 보고 들었다. 진실과 거짓 공방, 책임의 유무, 이념 논쟁 등 우리가 보고 들은 5•18 이야기는 분노와 피로감을 더해주었다. 정치인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5•18을 이용하고 왜곡했다. 그 속에서 사람을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소년이 온다’를 읽었다. 정치적인 이슈가 아닌, 이념 논쟁이 아닌 5•18을 만났다. 그 속에 사람이 있었고, 그들의 삶이 있었다. 역사적인 사건으로서의 5•18은 끝이 났지만, 그 중심에 있었던 사람들의 삶은 여전히 그 속에 있었다. 마음이 아팠다.

각 장마다 화자가 달랐다. “비가 올 것 같아. 너는 소리 내어 중얼거린다.” 소설의 첫 구절이다. 소설 속 화자는 실종된 친구를 찾아 나섰다가 상무관을 떠나지 못하는 중학생 동호를 이인칭의 시점으로 바로 보고 있다. 2장에서는 동호의 친구인 죽은 정대가 일인칭 ‘나’로 사건을 묘사한다. 소설은 이렇게 6장까지 다른 화자를 통해, 5•18이 발생했던 시•공간을 묘사하기도 하고, 세월이 흐른 후 살아남은 자들의 삶을 통해, 유가족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날의 이야기를 이어나간다. 살아남은 자들과 가족을 잃은 이들에게 그날의 사건은 종결될 수 없는, 여전히 진행형의 삶이었다. 여전히 그날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오늘을 살아야 하는 이들과, 가족을 잃고도 삶을 이어가야 하는 이들에게 오늘은 참 잔인하다.

이 소설을 읽으며 문학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일 자체가 사건의 연속이다. 어떤 사건들을 수많은 생채기를 남긴다. 그 생채기를 기억하는 일, 보듬는 일 그것이 문학의 역할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누구의 책임이냐, 진실이냐 아니냐를 따지기 전에 그들이 겪은 아픔을 공감하고 위로하는 일 그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처음 혼자서 망월동을 찾았던 스무 살의 겨울에서 이 책이 나오기까지 한강 작가 역시 그 시간과, 그 공간 속을 함께 살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휘날리는 눈발 속에서 상무관을 바라보고 섰던 작가의 그 마음 역시 아픔이었을 것이라 생각하니, 그 잔영이 책을 덮고 나서도 지워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