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 현장비평가가 뽑은 올해의 좋은 소설
공선옥 외 지음 / 현대문학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2003년 올해의 좋은소설을 2005년에야 찾아서 읽었다.

뽑힌 10명의 작가들 중 남성작가가 2명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 재미있게 느껴졌다.

(이 소설을 심사하는 심사위원은 누가 뽑는 걸까? 김윤식은 해마다 꼭 낀다..)

2005년, 2004년 작품집에 비해 작품의 질이 조금 떨어진다는 인상을 받았다.

전체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이혜경의 '물 한 모금'

그 외에는 천운영의 '명랑'이 아주 빼어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참, 신인 염향의 소설도 다채로웠고, 김연정의 소설도 재미있었다.

이 소설집은 등단 순서대로 작품을 싣고 있는데

내게는 뒤쪽의 소설이 훨씬 더 좋았다. 

박완서 작품에는 이상하게 공감이 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리열쇠
유홍종 지음 / 해누리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일찍이 오토랑크는 이렇게 말했다.

'쓸데없는 출판물의 홍수가 독자를 기만하므로 나부터 붓을 꺾고 쓰지 않겠다'

너무 잔인한 말이 될 수도 있지만, 나는 그 말을 '유리열쇠'의 작가에게 들려주고 싶다.

종이가 아깝다. 책 만드는 데 들인 시간과 공이 아깝다. 출판사 직원들이 불쌍하다.

도대체 이런 책을 왜 출간했는가?

삶이 무료한 사람에게 추천할 만하긴 하다.

읽으면 너무 화가 나기 때문에 최소한 무료함에서는 벗어날 수 있을 테니까.

구도소설, 이라는 장르를 욕되게 하는 장난 같은 내용, 성의 없는 문체,

출처를 알 수 없는 그림들, (더 심각한 문제는 그림이 내용과 어울리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진부한 스토리, 신파조의 대사들, 진지함도 없고 그렇다고 신선한 재미도 없는.

정말이지 미덕이라고는 약에 쓸래도 찾아볼 수 없는 최악의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요일의 여자 사우나 - 루트 리프 연작 소설 1
루트 리프 지음, 이정연 옮김 / 시아출판사 / 2004년 5월
평점 :
품절


 

독일과 우리네의 정서가 달라서인지, 이 책은 참 새롭게 다가왔다.

문학적으로 크게 뛰어나다거나.. 그런 느낌이 드는 것은 아니지만

신선하고 독특하다는 점을 높이 사고 싶다.

에세이처럼 짧은 글 속에 하고 싶은 말을 돌려서 담아내는 작가의 재주도 상당히 놀랍다. 

읽으면서, 읽고 나서 감탄하게 되는 그런 책은 결코 아니지만

루트 리프의 연작 소설 제2권을 사고 싶다는 생각이 드니

이 묘한 흡인력은 대체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안의 그녀
가쿠타 미츠요 지음, 최선임 옮김 / 지식여행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제목이 와 닿지 않았으나, '나오키상 수상작'이라는 수식어에 혹해서 샀다.

평범한 전업주부이던 화자가 다시 일을 시작하고,

일터에서 만난 동갑내기 사장과 인간관계를 맺게 되면서 펼쳐지는 이야기.

현재 한 꼭지, 사장이 자신의 학창 시절을 반추하는 과거 한 꼭지가 어우러지면서

글은 알맞게 긴장을 유지한다.

학창 시절에 그렇게 친했던 친구들이 왜 나이가 들면 멀어지는가,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에 대해 물음을 던지는 주제도 신선하다.

그러나 그 물음의 답을 작가가 결말에서 너무 성급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문체가 다소 지루하다는 점도 실망스럽다. 

마지막으로 제목.. 꼭 이렇게 일본식 한자어 對岸을 한글로 그대로 옮겨야 했을까?

강 건너편의 그녀.. 도 우습지만, 그래도 '대안의 그녀'는 너무했다.

외국어를 좀더 우리 정서에 가깝게 번역할 수 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드 와인
이영임 지음 / 틈북스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이영임이라는 작가의 이름을 나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했다.

별 생각없이 집어든 책이었는데, 책장을 덮을 때 난 울고 말았다.

화자의 남편이 누나에 대해 갖고 있는 기억.. 그게 너무 슬펐다.

'작가의 말'을 읽어보니 실화에 바탕하고 있는 이야기가 아닌가 짐작되는데,

진정이 묻어나는 이 작품이 그 슬픈 실화에 위안이 되었을 거라 생각한다.

소문, 오해, 불신.. 이러한 것들이 만들어내는 상처를 잔잔하지만 절실하게 묘사해낸 작품.

참, 요새 양장에다가 띠지에다 금박에.. 하여간 책 표지에 너무 많은 돈을 들이고

책값을 팍팍 올리는 출판사들이 많은데,

제발 우리나라도 이런 값싸고 가벼운 판형의 페이퍼백이 보편화되었으면 한다.

그런데.. 이렇게 싼 책을 배송료도 안 받으면

출판사는 뭘 먹고 살지? 그것 참 궁금하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