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기다림 레나테 - 북한 유학생을 사랑한 독일 여인이 47년간 보낸 전세계를 울린 감동의 러브레터
유권하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북한청년이 동독에 유학 와 독일처녀와 사랑을 하고 아이를 낳고 북한청년은 소환되 귀국하고 동독처녀인 레나테는 두번째 아이를 임신한 상태라 여행이 무리인지라 잠시 떨어진다는 세월이 47년이 흘렀다.
청년은 귀국해 나름대로 나라에 헌신하고 다른 여자와 재혼을 해 살았지만 레나테는 재혼하지 않고 두 아이를 힘겹게 키웠다.
그동안 여러가지 방법으로 남편의 소식을 알아보고 편지연락도 취했고 만남도 시도했지만 개인의 힘으로는 북한의 높은 장벽을 넘을 수 없었다.
 
헌데 중앙일보 기자가 이 사연을 기사화 하면서 언론, 정치의 관심을 받게 되고 적십자사 도움은 물론 유엔, 양국 대통령의 관심과 염려 덕분에 결국은 만나게 된다는 신파 아닌 신파.
 
이런 경우 왜 남자는 대부분 재혼을 하고 여자는 무작정 기다릴까?
레나테는 한국여성도 아닌 독일 여성인데?
만약 남편이 아이를 데려갔다면 남자는 더 빨리 재혼했을까? 혼자 키우기 힘드니까?
홀로 남은 레나테는 재혼을 했을까? 이런 경우라면 더 오래 기다렸을까?
기다림의 힘은 사랑이었을까? 인내였을까? 아니면 기다린 세월이 억울한 였을까?
이 만남이 성사되지 않았다면 이 책도 나오지 않았겠지?
그리고 기다려야 꼭 아름다운걸까?
레나테가 재혼을 했다고 해서 아름답지 않았을까?
기다렸다는데 왜 나는 답답해 질까?
 
결국 두사람은 다시 만났고 47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공감을 얻었고 아버지 존재를 못 느끼던 두 아들들도 아버지라는 존재를 알게 되어 나름 보람있는 상봉이었다고......
독일이란 나라는 적어도 우리나라 보다는 혈연에 덜 얽매이는 나라 아니던가?
혹시 이 책은 기자 주관이 너무 많이 들어간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