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생 소비 트렌드 2020 - 90년대생 이커머스 기획자가 직접 말하는
곽나래 지음 / 더퀘스트 / 2019년 11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올들어 처음으로 캐롤을 들었다.

'연말이구나.'

이제 한 달 남짓 남은 2019의 끝자락을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기쁘기보다는 지나간 날들에 대한 아쉬움과 다가올 날들에 대한 불안함때문에 그 어느때보다 우울해진다.

그래서일까?

서점에는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2020년을 점치는 책들이 넘쳐난다.

이를 두고 누군가는 '트렌드 책의 트렌드'라고 하기도 했다.

내 운명은 어쩐지 철학관의 점괘로 갈음해볼 수 있을 것 같지만 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요즘의 시대운명은 적어도 과학적인 분석으로만 대체가 가능할 것 같다.

나 역시도 벌써 세 권의 트렌드책을 선택했다.

책 '90년대생 소비트렌드 2020'는 그런 시류에 부합하는 사례라 할 수 있겠다. 다만 저자의 인사이트와 아울러 재구성한 실제 90년대생의 sns대화가 담겨있어 좀 더 이해하기 쉽다.

인생의 중심에 나 자신을 두고 사는 90년대생의 소비에는 다음과 같은 패턴이 있단다.

-혼자하는 여행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

-퇴근 후의 배움



살롱문화의 활성화 (트레바리), 혼행의 유행 (#혼행), 피트니스 모임 (슬릭, 버핏서울)에 대한 열광, 다양한 워크샵의 개설 (동네책방, 프립)에는 이러한 이유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 한가지! 온라인과 친숙하지만 정작 오프라인에서 대면할 수 있는 기회를 꺼리지 않는다는 점. 그걸 어쩌면 특별한 경험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는 점.

실은 90년대생의 마음을 아직까지도 잘은 모르겠다. 앱네이티브라고 불리는 세대를 어찌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경계에 서있던 세대가 완벽히 이해할 수 있으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하게 여기지 않고 좀 더 알고싶다.

트렌드를 안다는 게 마법지팡이가 되어주지는 않겠지만 더듬더듬 앞날을 점쳐보는 가이드가 되어줄 것이라는 점만큼은 부인할 수 없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