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된 이상 마트로 간다 - 엑셀만 하던 대기업 김 사원, 왜 마트를 창업했을까?
김경욱 지음 / 왓어북 / 2019년 9월
평점 :
품절


요리를 좋아하는 신랑이 은퇴 후에 식당을 해보고 싶단다.
"돈 받고 팔 정도는 아니야."
꿈과 희망을 와장창 깨기위해 냉정하게 말했다. 그 말에 깨갱하며 생각을 접는 듯하길래 소금 한 됫박을 들이붓기위해 백종원쌤의 '골목식당'을 보여줬다. 말을 더 이상 안하는 걸 보니 냉정한 현실을 깨달았나보다.

그렇다. 내가 좋아하는 걸 직업으로 삼는 건 쉽지않은 일이다. 좋아하는 걸 싫어하게 되는 것으로 끝이나면 그나마 다행인데 들인 돈까지 까먹고 빚까지 져서 회생불능이 되면 그거야 말로 최악 중에 최악이다.

그러니 하지말자는 건 아니다. 대신 시작하기 전 대출을 받기 전 상가계약서를 쓰기 전 열심히 따져보라는 거다. 하루예상 매출이 어느 정도일지 단가를 낮추는 방법은 뭘지 경쟁사가 있어도 살아남을 묘책은 뭐가 있을 지 생각해보는 단계가 필요하다는 거다. 글이라고 뭐가 다를까? 나도 그렇게 시작했다. 그렇게 시작했어도 살아남기 힘들었다.

'이렇게 된 이상 마트로 간다'의 저자는 꼬박꼬박 나오는 월급의 달콤함을 뒤로하고 부모님이 사시는 지역인 군산에 마트를 차렸다. 하지만 욱해서 사표를 던진 게 아니라 이미 머릿 속으론 계산이 끝난 상태였다. 그걸 엿보다보면 자영업이야 말로 장사야말로 과학이라는 생각이 절로 들면서 쉽게 덤비지 말자고 다짐하게 되는 것이었다.

철저하게 준비한만큼 그는 살아남았다. 치열한 판매업의 시장에서. 엉덩이를 붙이는 순간 매출은 떨어진다. 그는 비수기에도 지역공헌활동을 하며 사랑받는 동네마트로 남기위해 갖은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

남이 잘되면 배가 아프다며?
이분의 성공스토리를 아니 전혀 그렇지 않다.
되실 분이었다. 동시에 나는 장사하면 안될 분이라는 것도 깨닫게 되었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